earticle

논문검색

일반

교양교육의 주제론으로서 포스트휴먼과 그 서사적 함의 - SF 고전과 현대 문학작품의 신토피칼 접근

원문정보

Posthumans and Epic Values as Themes of Liberal Education - Syntopical Reading of Science Fictio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진선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train active liberal arts readers, this study combined a science fiction classic (Isaac Asimov's "The Bicentennial Man" 1976) and contemporary work of literature (Kim Cho-yeop's "About My Space Hero" 2019) under the theme of "Posthuman"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lassical reading in liberal education, it aims to provide contemporary imagination to college students and give specific directions on the pedagogical use of science fiction narratives. First, I survey various ways of thinking about posthumanism. Isaac Asimov's "The Bicentennial Man" featur electronic humans as post-humans, criticizing human centralism, while exploring the value of Homo sapiens. In a world where humans and non-humans coexist, I looked at the ethics of hospitality that helps post-humans, focusing on figures from the Martin-Penny family. Kim Cho-yeop's "About My Space Hero" depicts two female scientists becoming cyborgs, going beyond practical constraints with their subjective perception and courage. I consider that women can construct new role models with Kinnovating and the formation of new kinship, which is not limited to Western family systems. The symbol of future learning, which values transformation, examines the modern encounter with SF classics featuring posthumans as new future subjects, reflecting on the meaning of coexistence and cooperation thrown at us by literary achievements.

한국어

본고에서는 주제론적 교양수업의 한 모델이자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교양 독자를 훈련시키기 위해 포스트휴먼이란 테마 아래 SF 고전(아이작 아시모프의 「이백 살을 맞은 사나이」(1976))과 현대 문학작품(김초엽의 「나의 우주 영웅에 관하여」(2019))을 신토피칼적으로 접목해 보았다. 이는 교양교 육에서 고전 읽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현대 교양독자인 대학생들에 게 동시대적 상상력으로 사유 훈련을 가능케 하며 동시에 새롭게 주목받는 SF 서사의 교육학적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먼저 포스트휴먼,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다양한 사유 방식을 고찰하 고 미래 사회 다양한 종의 출현을 예고하며 포스트휴먼으로서 전자인간이 등장하여 안드로이드에서 휴먼으로의 역진화를 시도하는 아이작 아시모프의 「이백 살을 맞은 사나이」를 통해 인간 중심주의를 비판하면서도 역으로 호모사피엔스의 가치를 탐구하였고, 인간과 비인간이 공존하는 세상에서 마틴-페니 가의 인물을 중심으로 포스트휴먼에 조력하는 환대의 윤리를 살펴보았다. 김초엽의 「나의 우주 영웅에 관하여」에서는 주체적 인식과 용기로 현실적 제약을 뛰어넘는 두 명의 여성과학자의 사이보그 되기를 살펴보면서 서구의 가족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 새로운 친족혁신과 규범적인 가족 정치에 매몰되지 않는 새로운 친족이 형성될 때 여성은 새로운 롤 모델을 구성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변혁성에 가치를 둔 미래학습의 표상자는 새로운 미래 주체로서 포스트휴먼을 주인공으로 한 SF 고전과 현대의 만남을 살피면서, 그 문학적 성취와 함께 성찰과 비판의 서사력이 우리에게 던지는 공존과 협력의 의미를 되새김해 볼 수 있다.

목차

<국문개요>
1. 들어가며: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고전 읽기의 의미
2. 신토피칼(Syntopical) 독서와 주제론으로서 포스트휴먼
3. 포스트휴먼, 다양한 종의 출현과 그 가치
3.1. 포스트휴먼으로서 전자인간((Electronic Person)
3.2. 소수자의 사이보그(Cyborg) 되기
4. 공존과 연대의 서사, 철학과 실천의 메시지
4.1. 휴머노이드에서 휴먼으로, 조력과 환대의 윤리
4.2. 친족혁신(Kinnovating), 사이보그와 그 연대 모델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진선영 Jin, Sun-young. 세종대학교 대양휴머니티칼리지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