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화사집』의 짐승 표상 - ‘병든 숫개’, ‘배암’, ‘숫사슴’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Representation of the Beasts in Hwasajip - Focused on “Sick Male Dog”, “Snake”, and “Stag”

이원영, 윤재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points out “Sick Male Dog”, “Snake”, and “Stag” as the main representation of the beast in 󰡔Hwasajip󰡕. And it attempts to examine the world of life of 󰡔Hwasajip󰡕 created through such representation of beasts. The representation of beasts is the main factor that makes up the world of Hwasajip. However, there have been no attempt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world of Hwasajip through the specific meaning, relationship, and context of the representation of beasts. In this regard, this paper traces the meaning and context of representation of beasts focusing on “Sick Male Dog”, “Snake”, and “Stag”, and explores the world of Hwasajip created though these representation of beasts. “Sick Male Dog” shows a paradoxical gaze of entering the world of the bottom and trying to acquire splendor through bodily struggle. The gaze of “Sick Male Dog” is also the gaze that passes through the whole of Hwasajip. “Snake” is a representation of primordial sensuality that appears in a woman’s physical beauty. “Snake” is the mechanism of life that makes males struggle bodily with their primal desires. The “Stag” is the incarnation of a healthy body, and the representation of an ideal male who has been fulfilled through unity with the fundamental life. “Becoming a stag” shows the desire for recovery of the sick body. The poet accepts the struggles of the body shown by these representations of beasts as the principle of realization of life that acquire the splendor of the world of the bottom, and writes the narrative of the restoration of the beast's instinct and physicality.

한국어

본고는 『화사집』의 주요한 짐승 표상으로 ‘병든 숫개’, ‘배암’, ‘숫사슴’을 지목하고, 이러한 짐승 표상들을 통해 직조되는『화사집』의 원초적 생명성의 세계를 살피려는 시도다. 짐승 표상들은 『화사집』의 세계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짐승 표상들의 구체적 의미와 관계, 맥락을 통해 『화사집』의 세계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고는 ‘병든 숫개’와 ‘배암’, ‘숫사슴’을 중심으로 짐승 표상들이 지니는 의미와 맥락을 추적하고, 이러한 짐승 표상들을 통해 직조되는 『화사집』의 세계를 탐색하였다. ‘병든 숫개’는 밑바닥의 세계로 육박하여 고투하는 육체의 몸부림으로 찬란함을 간취하려는 역설적 시선을 보여준다. ‘병든 숫개’의 시선은 『화사집』 전체를 통관하는 시선이기도 하다. ‘배암’은 여성의 육감으로 나타나 는 원초적 관능의 표상으로, 수컷들을 매혹하여 원초적 욕망의 몸부림을 만들어내는 생명성의 기제다. ‘숫사슴’은 건강한 육체의 화신으로서, 근원적 생명성과 합일을 이뤄 충만해진 이상적 수컷의 표상이다. ‘숫사슴-되기’ 는 병든 육체의 회복 열망을 보여준다. 시인은 이러한 짐승 표상들이 보여주는 육체의 몸부림들을 밑바닥 세계에서 찬란함을 간취하게 하는 생명성의 구현 원리로 받아들이고 짐승적 본능과 육체성 회복의 서사를 써 내려간다.

목차

<국문개요>
1. 서론
2. ‘병든 숫개’의 시선
3. 수컷으로서의 욕망을 촉발하는 ‘배암’‘
4. ‘숫사슴’ 되기를 통한 육체성 회복에의 염원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원영 Lee Won-young. 동국대학교 전문연구원
  • 윤재웅 Yun Jae-woong. 동국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