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 주제 : 변동의 시대와 한국어문학 Ⅰ - 재난 상황과 삶의 변화

식민지 재난과 통치, 그리고 재현의 역학 - 박화성의 「홍수 전후」, 「한귀(旱鬼)」, 「고향 없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Colonial Disaster and Rule, and the Dynamics of Representation - Focusing on Park Hwa-seong’s “Before and After the Flood”, “A Ghost in Charge of Drought” and “People Without Hometowns”

서승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ritical involvement of disaster narratives portraying the relief measures of colonial power, focusing on Park Hwa-seong’s “Before and After the Flood”(1934), “A Ghost in Charge of Drought”(1935) and “People Without Hometowns”(1936). These novels, set in the successive floods and droughts in the Yeongsanpo area of Naju from 1933 to 1935, have in common in the way that they describe disasters from the perspectives of poor local residents.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unlike the disaster narratives of male authors, these novels have details of family narratives. The families in the novels are depicted as refugees, who do not benefit from national preventive and relief measures and their extreme circumstances (while landowners suffer less) demonstrate the inequality and hierarchy exacerbated by disasters.“Before and After the Flood”leaves room for hope, finding a potential solution in fraternity and solidarity between discriminated classes. However, “A Ghost in Charge of Drought”, focusing on disasters of the mind, stresses the seriousness of compounded disasters, realizing the errors of the past but describing absolute despair, with no optimism for the future.“People Without Hometowns” is about people who mass migration to North Joseon in the same age, while “A Ghost in Charge of Drought” is about those left in their hometowns during the drought. Displaying a drama of emotions, including the sorrow and pain of people leaving their homes and a will to survive, this story circuitously criticizes the relief measures of the Government General. These disaster narratives are significant as archives, both testament to and rememberance of regional disasters, while revealing some of the problems of colonial rule in the mid-1930s, when a socialist outlook was illegal.

한국어

박화성의 「홍수 전후」(1934), 「한귀(旱鬼)」(1935), 「고향 없는 사람들」(1936) 은 식민 권력의 구제책에 비판적으로 개입하는 재난 서사이다. 1933-35년 나주 영산포 지역을 연이어 덮친 홍수와 가뭄을 배경으로 하는 이 소설들 은 가난한 지역민들의 입장에서 재난을 묘사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또한 남성 작가들의 재난 서사와 달리 가족 서사의 디테일을 갖추고 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소설 속 가족들은 국가의 예방 및 구호책이 미치지 않는 난민의 형상을 띠고 있으며, 극한상황에 처함으로써 재난의 위계와 불평등성을 몸소 증명한다. 「홍수 전후」는 그 해결책을 동포애와 변별되는 계급 간 연대에서 찾으며 희망의 여지를 남겼다. 그러나 마음의 재난에 초점을 맞춘 「한귀」는 과거의 오류를 깨닫긴 하되 미래 없는 절대적 절망을 그려내 중첩된 재난의 심각성을 부각시켰다. 「한귀」가 가뭄 속에서 고향에 남은 자들의 이야기라면 「고향 없는 사람들」은 동시기에 북선(北鮮) 지방으로 집단 이주해 간 자들의 이야기이다. 이 소설은 고향을 떠난 자들의 슬픔과 고통, 그리고 생존을 향한 의지 등 감정의 드라마를 구성하는 가운데 총독부의 이재민 구제책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이와 같은 재난 서사들은 지역의 재난을 증언하고 기억하는 아카이브로 작용 하는 한편, 사회주의적 전망이 불법화된 1930년대 중반에 식민지 통치의 문제성을 드러내는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목차

<국문개요>
1. 박화성의 재난 서사
2. 로컬 작가 박화성의 소설적 전환
3. 재난의 위계와 불평등성에 관한 재현
4. 식민 권력의 구제책에 대한 반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승희 Seo, Seung-hui.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