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석전 황원(1870~1944)의 『가락국사』 저술

원문정보

A Study on History of Garakguk by Seokjeon Hwang Won(1870~1944)

김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eokjeon Hwang Won is the younger brother to Maecheon Hwang Hyeon, a well-known national patriot and poet in late Joseon. He wrote History of Garakguk in the Wolgok village, Gurye-kun, Jeollanam Province in the summer of 1921.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is historical awareness reflected in History of Garakguk by reviewing it in the background, composition, system, and content. The study would thus present a case of a local Confucian intellectual and his historical awareness during the Japanese rule. Hwang Won had much interest in history as a young man. In 1916, he participated in the proofreading of Gyojeong Samguksagi. This opened his eyes to the wrong description of Gaya history. He wrote History of Garakguk to set Gaya alienated from the authentic line of history as a subject of ancient Korean history. History of Garakguk is a history book written in a chronological order in Chinese. Based on the history of Gaya in Hangukyeokdaesosa(1915) by Kim Taek-yeong, Hwang Won revised wrong parts in the book through comparison and review with other works of literature and supplemented it for missing parts. It is believed that he used Dongsayeonpyo(1915), one of the latest history study books those days, as his major reference material. In his History of Garakguk, Hwang Won accepted most of Kim Taekyeong’s methods of history description within the framework of Confucius theories of tradition. Like Kim inherited the historical awareness of Silhak scholars, Hwang Won also inherited the historical awareness of Silhak scholar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He made efforts to write an empirical history of Gaya by comparing and reviewing many different materials of literature including Kim's history books to find what was right and wrong in history. However, he adhered to his traditional viewpoint of history that placed greater importance on Neo-Confucian causes than Kim Taek-yeong in some parts including the use of Yunyeonchingwonbeop. The present study examined Hwang Won’s historical awareness in History of Garakguk and found that he inherited the importance of territorial issues and empirical and historical research attitudes of Silhak scholars in their historical description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He adhered to this traditional historical awareness as a means of sustaining himself as an intellectual that lost his country and lived in a colony.

한국어

石田 黃瑗(1870~1944)은 한말 우국지사이자 시인으로 유명한 매천 황현의 동생이다. 그는 1921년 여름 전라남도 구례군 월곡마을에서 『駕洛國史』 를 저술하였다. 이글은 황원의 『가락국사』 를 대상으로 저술배경, 『가락국사』 의 구성과 체제, 내용 등의검토를 통해서 이 책에 반영된 그의 역사인식을 살펴본 연구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일제강점기를 살았던 지역 유교 지식인의 역사인식을 보여주는 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황원은 젊었을 때부터 역사에 많은 관심을 두었으며, 1916년 즈음에는 『교정 삼국사기』 의 교정작업에 참여하였다. 이후 그는 가야사 서술의 잘못됨을 인식하고 역사의 정통으로부터 소외되었던 가야를 고대 민족사의 한 주체로 세우기 위해 『가락국사』 를 저술한다. 『가락국사』 는 순한문의 편년체 역사서로 김택영이 편찬한 『한국역대소사』 (1915) 에 실린 가야사를 대본으로 하고, 다른 문헌과의 비교검토를 통해 잘못된 부분은 수정하고, 빠진 부분은 보완하는 방법으로 저술하였다. 특히 주요 참고자료로 당시 최신 역사공구서였던 『동사연표』 (1915)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황원의 『가락국사』 는 유교적 전통론의 틀 안에서 서술된 김택영의 역사서술 방법을 대부분 수용하고 있다. 또한 김택영이 실학자의 역사 인식을 계승한 것과 같이 황원 역시 조선후기 실학자의 역사인식을 계승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는 김택영이 편찬한 사서뿐만 아니라 여러 문헌과의 비교검토를 통해 역사의 옳고 그름을 가려내고자 하는 등 실증적인 가야사를 서술하고자 노력하였다. 하지만 유년칭원법의 사용 등 일부분에서 는 오히려 김택영보다도 더 성리학적 명분을 중시하는 전통적인 역사관을 고수하고 있다. 결국 『가락국사』 를 통해 본 황원의 역사인식은 조선후기 실학자의 역사서술에서 견지되었던 강역 문제의 중요성과 실증적·고증적인 태도가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고 할수 있다. 그의 이러한 전통적인 역사인식의 고수는 나라 잃은 식민지 지역 지식인으로서자신을 지탱하는 한 방편이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가락국사』의 저술배경
Ⅲ. 『가락국사』 구성과 체재
Ⅳ. 『가락국사』 내용검토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은영 Kim, Eun-Young. 전남대 호남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