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특집 : 광양 백운산의 불교 문화

광양 백운산의 17세기 불상 복장기록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the Bokjang Records from Buddhist Statues created in the 17th Century in the Baekun mountain area of Gwangyang

유근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s the Bokjang records of the Portable Shrine of Wooden Amitabha Triads created in 1637 [owned by Dongguk University Museum] and 1644 [stolen], and the Bokjang record of the wooden Amitabha Buddha statue created in 1643 [enshrined in the Daeungjeon of Baekunsa Temp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Bokjang records, it is presumed that these statues were made at temples in the Mt. Baekun area of Gwangyang. The Portable Shrine of Wooden Amitabha Triads made in 1637 and 1644, respectively, take on the iconography composed of Amitabha, Avalokitesvara, and Ksitigarbha Bodhisattva. The image was created as a Buddhist statue for personal prayers, and it is mainly a succession of the image that was frequently requested by the royal family in early Joseon Dynasty. The wooden Amitabha Buddha statue at Baekunsa Temple made in 1643, on the other hand, is the main Buddha of Amitabha Triad, which takes on the iconography composed of Amitabha, Avalokitesvara, and Mahasthama-prapta. It is presumed that this was made by monk Soyo Taeneung, who worked actively as a monk soldier in the Mt. Jira area, to pray for the souls of the monk soldiers who died in wars to go to the world of paradise. The Buddha statues created in the Baekunsan area of Gwangyang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are the Amitabha Triad, reflecting the individual's faith and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Gwangyang is adjacent to Suncheon, Yeosu, Gurye, and Had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onks in the Mt. Baekun area of Gwangyang were closely interacting with the temples in the Mt. Jiri area, such as practicing at Hwaeomsa, Yeongoksa, and Cheoneunsa in Gurye, as well as at Ssangyesa and Sinheungsa in Hadong.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사찰에서 간행된 불교 전적의 刊記 기록과 1637년·1644년 작 목조아미타삼존 불감과 1643년 작 백운사 목조아미타불상의 복장 기록을 분석하였 다.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1637년 작 불감과 1643년 작 백운사 대웅전에 봉안된 아미타불상의 조성발원문을 분석한 결과 두 존상은 조선후기 백운산에 소재한 사찰에서 조성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1637년과 1644년에 조성된 불감은 아미타·관음·지장보살로 구성된 도상이며, 이는 개인용 願佛로 조성한 것으로 주로 조선 전기에 왕실에서 명복을 빌기 위해 발원한 도상 을 계승한 것이다. 이와 달리 1643년에 제작된 백운사 아미타불상은 아미타삼존의 본존 불로 아미타·관음·대세지로 구성된 도상을 채택하고 있는데, 조성 목적은 지리산 지역에 서 주로 활동했던 소요 태능이 戰歿한 승군들의 薦度를 위해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17세기 중반 광양 백운산 지역에서 조성된 불상은 아미타삼존상으로 당시 개인의 수행 관과 시대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광양은 순천·여수·구례·하동 등과 인접해 있어 조선후기 광양 백운산 사찰의 승려들 은 지리산의 구례 화엄사·연곡사·천은사를 비롯해 하동 쌍계사·신흥사 등에서 수행하는 등 서로 긴밀하게 교류하고 있다. 따라서 광양 백운산에서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17세 기 불상은 이러한 당시의 시대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목조아미타삼존 불감의 복장기록 분석
Ⅲ. 목조아미타삼존 불감의 원 봉안처
Ⅳ. 백운사 목조아미타불상의 복장기록 분석
V. 백운사 목조아미타불상의 원 봉안처
V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근자 Yoo, Geun-Ja. 동국대학교 미술학부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