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특집 : 광양 백운산의 불교 문화

조선시대 광양 백운산 일원 사찰의 불서 간행과 그 의의

원문정보

The public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Buddhist book in the area of Baekunsan, Gwangy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박용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y analyzing the bibliographical and content of Buddhist books published at the temples in Gwangy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significance of Buddhist literature and the beliefs and ideological tendencies of Buddhism in Gwangyang were reviewed. In the Gwangyang region, there are eight temples in Baegunsan and Baekgyesan that have published Buddhist books. There are Baegunam, Byeongpungam, Mansuam, Seongbulsa which have woodblock carved from the Mansuam, Songcheonsa, Chocheonsa, and Hwangnyongsa temples in the Baegunsan area, and Okryongsa in Baekgyesan. The number of publications of Buddhist books by period is six from the 15th century, ten from the 16th century, two from the 17th century, and two from the 18th century, for a total of twenty publications in sixteen categories. Representative Buddhist books include Baegunam’s Geumganggyeong (1474), Byeongpungam’s Buljo-samgyeong(1479), Seongbulsa’s Seoggayeolaehaengjeogsong, Songcheonsa’s CheonjiMyeongyang-suryukjaeui(1578), Chocheonsa’s Hyeonjeongron(1526), Hwangnyongsa’s HwaeomGyeongsocho(1690) was published, and Okryongsa’s Hyeolmaeglon(1473) and SeongakGuksabi(1712) were published. The Buddhist literature published in Gwangyang has many publication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there are many books that were not published in history of Korean Buddhist or have no transcripts, so they have Buddhist literary significance. Buddhism in Gwangya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arried out activities to spread Buddhism through religious associations in relation to the circumstances of the era of King Jungjong. It was part of the response made by the local Buddhist community as Buddhism became politically and socially stagnant

한국어

조선시대 광양 일원 사찰에서 간행된 불서의 서지 및 내용을 분석하여, 불교문헌학적의의 및 광양 지역 불교의 신앙과 사상 경향을 검토하였다. 전라도 광양 일원의 불서의간행처는 백운산의 백운암, 병풍암, 만수암, 만수암에서 간행한 목판을 안치한 성불사, 송천사, 초천사, 황룡사 등이 있고, 백계산의 옥룡사 등 전체 8개의 사찰이다. 시기별불서 간행은 15세기 6종, 16세기 10종, 17세기 2종, 18세기 2종으로 전체 20종이다. 백운암에서는 『금강경』(1474) 등 2종을 간행하였고, 병풍암은 『불조삼경』(1479) 등 5종, 성불사장판 만수암 개판본의 유통본은 합간의 성격을 가졌기 때문에 7종을 상회한다. 송천사에서는 『천지명양수륙재의』(1578), 『육조대사법보단경』(1703)이 간행되었다. 초천사는 『현정론』(1526)을 간행하였고, 황룡사는 1690년에 『화엄경소초』의 권70~72를 분담 간행하여 징광사에 이진하였다. 옥룡사에서는 1473년 『혈맥론』, 1712년에 「선각국사비」와 「통진대사비」를 간행하였다. 광양 백운산 일원 간행 불서는 조선전기의 자료가 많고, 특히 이 시기에 간행된 불서는 대부분 조선시대에 들어와 처음 간행된 자료가 다수이며, 고려와 조선의 불서 계통과 저본을 계기적으로 알 수 있는 서지학적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불교사에서 간행되지 않았거나 그 전본이 없는 자료가 많아 불교문헌학적 가치 또한 크다. 조선전기 광양 백운산 일원의 불교는 조선전기 중종대 시대상황과 관련하여 신앙 결사를 통한 불법을 홍통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 가운데 일부의 특징으로는 나옹 법통의 역사성과 정통성을 강조하였으며, 신앙적인 측면에서는 선종 중심의 정토신앙 전개를 살펴볼 수 있었다. 한편, 승가의 지계를 중심으로 효순과 살생에 대한 경계 등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불교가 정치사회적으로 침체되는 가운데 지방 불교에서 전개한 적극적인 대응의 일환이라 볼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광양 백운산 일원 사찰의 불서 간행
Ⅲ. 사찰별 간행 불교 문헌의 서지 및 내용
Ⅳ. 광양 백운산 일원 사찰의 불서 간행의 의의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용진 Park, Yong-Jin.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