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동향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Speaking Assessments

이경, 성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search on speaking assessment is rapidly increasing ahead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aking assessment section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in 20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Korean speaking assessments. A hundred and twenty-six theses from graduate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by year, type, and topic. Although the research topic has been subdivided as the research results on assessment has accumulated, there still has been found higher portion of fundamental study for developing speaking assessment tools in the research, and there shows a tendency that the research is focused on the academic purpose learner in terms of assessment subject and on the pronunciation in terms of assessment contents. In the future, there are needs not only for the development of subject-oriented assessment tools, but also for the diversification of assessment contents including spoken grammar, vocabulary, and, pragmatics, as well as pronunciation. It could be possible to combine language functions like listening and reading with the speaking assessment and verify the type of tasks that can effectively measure the learner’s language ability in a specific area. After the speaking assessment has been implemented, studies on the assessment of learning patterns or improvement of assessment tools will be actively conducted. (Kyunghee Universit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서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있다. 이를 위해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126편을 연도별, 유형별, 주제별로 나누어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평가 관련 연구 성과가 누적되면서 연구 주제가 다소 세분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의 비중이 월등히 높았고, 연구가 학문 목적 학습자나 발음 영역 등 특정 분야에 다소 집중되어 있는 경향을 보였다. 향후에는 평가 대상을 고려한 평가 도구 개발이 필요하며 평가 내용 또한 다양화되어야 할 것이다. 필요에 따라 말하기 평가진행 시 듣기나 읽기 등의 언어 기능을 결합할 수 있을 것이고, 학습자의 특정 영역 언어 능력 측정에 효과적인 과제 유형에 대한 검증 또한필요할 것이다. 2022년 TOPIK 말하기 평가 시행을 앞두고 말하기 평가 관련 연구가 급증하는 현시점에서 말하기 평가 연구 동향을 살펴본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말하기 시험 시행 후 평가에서의 학습자 양상 연구나 평가 도구 개선 연구 등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및 절차
2.1. 분석 대상 및 방법
2.2. 분석 틀
3.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동향 분석 결과
3.1. 연도별․ 유형별 연구 동향 분석
3.2. 주제별 연구 동향 분석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부록> 분석 대상 논문 목록

저자정보

  • 이경 Kyung Lee. 경희대학교
  • 성아영 Ahyoung Sung. 경희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