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L2 acquisition and processing of Korean case alternation in motion verb construction by Chinese speakers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L1 Chinese learners of Korean can acquire case particle alternation in motion verb constructions. An acceptability judgment and self-paced reading task were conducted with L2 advanced learners of Korean in tandem with native Korean speakers. The result of the acceptability judgment task demonstrated that the L1 group accepted the sentences in both case-marking conditions, whereas the L2 groups (both higher and lower proficiency learners) only accepted the sentences in the ‘ul/lul’ condition, while rejecting the sentences in the ‘eseo’ condition. From the results of the self-paced reading task, L2 participants did not show any reading tim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ase-marking conditions. However, given that the L2 learners failed to demonstrate target-like knowledge of ‘in manner of motion’ verb construction in the acceptability judgment task, their reading-time patterns in the self-paced reading task may not be interpreted as their acceptance of both condi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L1 Chinese-speaking learners of Korean have a persistent difficulty acquiring the case alternation regarding motion verb construction. (Ewha Womans University)
한국어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양태성 이동동사 구문에 나타나는 ‘에서’와 ‘을/를’의 조사 교체 습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이와 같은 현상은 형태와 기능 간의 일대일 대응에 어긋나는 조사 교체 현상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는 습득의 어려움을 예상할수 있다. 따라서 중국인 한국어 중 ․ 고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조사 교체 현상의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용성 판단 과제 (acceptability judgment task)를 통해 문법성 인식에 대해 살펴본 후 조사 교체에 대한 지식을 실시간(online)으로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 자기조절읽기 과제(self-paced reading task)를 실시해습득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 상, 하 집단 모두 양태성 이동동사 구문에서 ‘을/를’보다 ‘에서’를 수용하였으며 상 집단의 경우 역시 한국인 모어화자와 달리 조사 교체에 대한 지식이 부족 했다. 실시간 처리에서도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인 모어화자들과 달리 조사 교체에 대한 민감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사에 대한 교수가 개별 조사에 그칠 것이 아니라 조사 교체가 일어나는 구문들에 대한 명시적 교수로 확대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목차
1. 서론
2. 한국어와 중국어 양태성 이동동사 구문
3. 연구방법
3.1. 연구문제
3.2. 피험자
3.3. 연구도구
3.4. 분석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4.1. 한국인 모어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교체에 대한 문법성 인식
4.2. 한국인 모어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교체에 대한 실시간 처리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