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화질 영상화면(Full HD)을 이용한 영상콘텐츠 자극이 수용자의 정서적 개선과 스트레스 회복에 미친 효과 : 스트레스 수준별 영상과 오디오 노출의 생체신호(EEG)반응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Effect on Emotional Improvement and Stress Recovery of Audience through the Video Content Stimulation Using a High-definition Video Screen (Full HD)

최영준, 한예진, 주혜선, 김기성, 문상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clinical trial study that clinically confirms whether the content composition of the TV image screen has a healing effect on the recipient. As a result of clinical trial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between groups in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However, the results of the EEG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stress group identifi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ve Alpha between natural sound and background music (BGM) in Natural Landscape 1 (St.1 Peopl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could not be identified in Natural Landscape 2 (St2. People + Animals). What is unusual is that in Urban Landscape 1 (St3. people) and Urban Landscape 2 (St2. people+ animal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lative Alpha and Relative Beta in many areas of the brain. It confirmed the increase of the Relative Alpha wave and the decrease of the Relative Beta wave of the background music (BGM). In the low-stress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lative Theta waves, Relative Beta, and Relative Gamma waves in Natural landscape 1 (St1) and 2 (St2). In the natural landscape 1 (St1. People) and natural landscape 2 (St2. People + animal), the video viewing group with background music (BGM) had an increase in Relative Theta and a decrease in Relative Beta in many parts of the brai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ve Theta wave increased and the Relative Beta wave decreased in the video viewing group including the natural sound of urban landscapes 1 (St3) and 2 (St4). This study can be found meaning in that it is a basic study of screen therapy clinical trials in digital therapy and smart mental care, which are emerging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non-face-to-face contact with the 2020 covid-19 epidemic.

한국어

본 연구는 고화질 영상(FULL HD)을 이용한 영상콘텐츠 자극이 정서 심리적 개선 이 필요한 수용자들에게 임상적으로 유의한지 화면치유(Screen Therapy)의 효과를 확 인하는 임상실험1)시도이다. 이번 임상실험은 기존 이론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융복합 연구설계에 따라 반복적인 실험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귀납적 연구접근 시도 를 시행하였다. 사전 임상심리 설문으로 선별된 피험자군은 총 36명이며 사전 실험설계에 따라 직접 촬영, 편집이 이루어진 영상자극용 영상콘텐츠의 시청전후 자기기입식 설 문을 작성하였고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뇌파(EEG)와 심박동 생체신호를 기록하여 사후 EEG 신호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작업을 하였다. 연구결과, 자기보 고식 응답설문에서는 그룹간의 통계적 유의미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뇌파분석 결과 고스트레스 군의 자연경관1(St1. 사람)에서 자연음과 배경음악(BGM) 사이에 Relative Alpha파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자연경관2(St2. 사람+동 물)에서는 그룹간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특이한 점은 도시경관1(St3. 사 람)과 도시경관2(St2. 사람+동물)에서는 두뇌의 다수 부위에서 Relative Alpha파와 Relative Beta파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배경음악(BGM)의 Relative Alpha파 증가 및 Relative Beta파 감소 현상을 확인하였다. Relative Alpha파는 심 리적 이완시 증가하는 뇌파로서 고스트레스 군은 시청한 경관의 종류와 무관하게 배경 음악(BGM)과 함께하는 영상시청시 심리적 이완이 증가하여 스트레스 감소효과가 있 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저스트레스 군의 경우, 자연경관1(St1)과 2(St2)에서 Relative Theta파와 Relative Beta, Relative Gamma파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자연경관1(St1. 사람)과 자연경관2(St2. 사람+동물)에 배경음악(BGM)이 포 함된 영상시청 그룹은 두뇌의 다수 부위에서 Relative Theta파 증가 및 Relative Beta파 감소가 있었고, 두뇌의 일부에서 Relative Gamma파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 었다. Theta파는 쾌락과 긍정적인 감정으로부터 오는 정서적 각성과 관련된 뇌파이고 명상을 할 때 전전두엽과 전두엽 부위에서 Gamma파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보고된다. 도시경관1(St3)과 2(St4)의 자연음이 포함된 영상시청 그룹은 Relative Theta파 증가 및 Relative Beta파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시 대를 맞아 비대면·비접촉 시대에 디지털 치료제, 스마트 멘탈케어 분야에 대한 영상치 료의 효과를 확인하는 임상실험 기초연구라는 점에서 연구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목차

요약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이론적 고찰
1) 미디어 화면의 정서적 개선효과를 확인하는 생체신호 논의
2) 뇌와 정서에 대한 연구
3) 시각 자극과 뇌파에 대한 논의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및 분석절차
1) 연구대상 선정 및 측정도구
2) 영상처치
3) 임상실험 실험실 조건
4) 임상실험 절차
5. 연구결과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영준 Young Jun Choi. 청주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부 부교수
  • 한예진 Ye-Jin Han.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문연구원
  • 주혜선 Hye Sun Joo. 한국트라우마 연구교육원 원장
  • 김기성 Ki Seong Kim. 바이오 브레인 대표
  • 문상정 Sang Jeong Moon. 김천대학교 기초교양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