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confirm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perceived by members of medical institutions on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o test the hypothesis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members of medical institutions (excluding doctors) in Gyeonggi Province,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First of all, the research results showed a positive impact only on use of emo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perceived by members on self-efficacy. Second, in the impact relationship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which is a sub-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regulation of emotion, and use of emotion all showed positive effects. Third, the effect of members'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was also positive, and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was also confirmed. Therefore, programs to improve memb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are introduced and institutional needs are requir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감성지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의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경기지역 의료기관 구성원(의사 제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구성원이 지각하는 감성지능이 자기효능감
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감성지능의 하위 요인 중 감성활용에서만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이 지각하
는 감성지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감성지능의 하위 요인인 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감성조절, 감
성활용 모두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셋째,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도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넷째, 감성지능과 직무만족간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구성원들의 감성지능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제도적 필요성이 요구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감성지능
2.2 자기효능감
2.3 직무만족
3.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3 표본의 일반적인 특성
4. 연구결과
4.1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4.2 상관관계분석
4.3 가설 검정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