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악 전문 중등교육기관의 원격 전공 수업 실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Distance Learning for Major Classes at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Korean music

김경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distance learning for major classes at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Korean music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has rapidly changed due to COVID-19, selects topics on the direction of teaching methods for Korean music major classes in distance learning, and provides basic data for various follow-up studies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37 teachers and instructors who had experience in remote and face-to-face major classes at four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Korean music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used platform for distance major classes was ZOOM, and 45% of the total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using it. This finding confirmed that they were using a platform implemented for a meeting or conversation, rather than one dedicated to music.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distance major classes allowed efficient use of time and place and were effective for personalized classes. Third, distance major classes had many problems caused by communication failure and call quality, and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and students’ attention in class were low.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s were using various teaching strategies for distance major classes in line with the changed environment. Fifth, for safe face-to-face classes,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actively taking measures such as ventilation of the classroom space, wearing a mask, maintaining a safe distance, and installing a screen. Lastly, they responded that the advantages for instrumental teaching were efficient use of place and time and personalized classes while those for theory and composition teaching were sharing various screens, sharing a whiteboard, and effective data transmission. Also, compared to other majors, it was confirmed that percussion majors had difficulty finding a class space during remote classes. As a measure for safety in face-to-face classes, wind and brass and vocal majors answered that they needed use of a screen while string and percussion majors answered that they needed wearing a mask, maintaining a safe distance, and use of hand sanitiz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remote major classes in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Korean music.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tudies on teaching methods for Korean music major classes in distance learning will be conducted.

한국어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급격하게 변화한 교육환경에 국악 전문 중등교육기관의 원격 국악 전공 실태를 분석하고, 원격 국악 전공 수업 방법에 대한 방향성 등에 대한 논제 선정과 앞으 로 이뤄질 다양한 후속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개의 국악 전문 중등교육기관에서 원격과 대면 전공 수업의 경험이 있는 교사 및 강사 37명 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 전공 수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플랫폼은 ZOOM이었는데 전체 응답자의 45%가 사용한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음악 전용 플랫폼이 아닌 회의나 대화를 위해 구현된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원격 전공 수업은 시간과 장소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며 개인 맞춤형 수업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원격 전공 수업은 통신장애와 통화 품질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이 많아 수업 집중력 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자들은 변화된 환경에 발맞춰 다양한 원격 전공 수 업 교수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안전한 대면 수업을 위해 수업 공간 환기, 마스크 착용, 안전거리 유지, 가림막 설치와 같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기 전공 수업은 장소와 시간의 효율적 사용, 개인 맞춤형 수업을 장점으로 응답한 반면 이론․작곡은 다양한 화면공유, 판서공유, 효과적인 자료 전송이 장점 이라 응답하였다. 또한, 다른 전공에 비해 타악전공 같은 경우 원격수업시 수업 공간을 찾아 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면수업에서 안전을 위한 방안으로 관악, 성악 전공은 가림막 활용을, 현악, 타악 전공은 마스크 착용, 안전거리 유지, 손소독과 같은 방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악 전문 중등교육기관의 원격 전공 수업 실태를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원격 국악 전공 수업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원격수업의 이해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태 Kim, Kyoung-Tai.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