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이상 시의 유계(幽界)의 헤테로크로니아

원문정보

Hétéro-Chronie of the World after Death in Poems by Lee Sang

이명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s to raise a question about general death and awareness on time with regard to discussing the poems by Lee Sang. Accordingly, it revealed that death is rather a time of life and a methodology of writing considering the awareness on death in his texts as “another death,” which means “dying,” and looking at it differently from the perspective on general death (difference between death and dying). Furthermore, focusing on hetero chronie, which is the heterogeneity of time to extend the time of life, it examined the path of transcendental self-overcoming that reaches eternity. Death in the poems by Lee Sang is the substance of death which is not in the past or future but now in progress. Experience of “dying” is the experience while living, which allows us to understand the paradox that death is life, and he reaches the true introspection beyond narcissistic self-reflexity. “Dying” is a journey that cannot help going out of existence and a process that leads to the impossibility that cannot be escaped from this cycle. He called for literary imagination as a way to transcend the impossibility, expressing the immanence of biological death. The approach to “dying” in the text is the hardship for the subject to face the impossibility of existence in the world. Lee Sang in a state of being undead broke up the dichotomy of life and death.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death―the moment when one is in the act of nihility―represented eternity reaching infinity and that representation was produced into writing. Based on Blanchot’s thought that the view on “impossibility of possibility” of death goes beyond the completion of existence and rather dismantles existence, it figured out that imagination of death in the texts by Lee Sang meant the will to live. On the basis of this, the paper presented another way of reading the temporality of time in Lee Sang’s poems.

한국어

이 글은 이상(李箱) 시 텍스트를 논의함에 있어 일반적인 죽음과 시간 의식에 문제 제기하는 시도이다. 따라서 그의 텍스트에 나타난 죽음 이미지를 ‘또 다른 죽음’ 즉 ‘죽어감’이라는, 일반적인 죽음과 차별화된 시각(death와 dying의 차이)으로, 죽음은 오히려 삶의 시간이며 글쓰기 방법론임을 밝혔다. 아울러 삶의 시간을 연장하려는 시간의 이질화인 헤테로크로니아에 주목하여, 영원에 이르려는 초극의지의 궤적을 검토하였다. 이상 시의 죽음은 과거나 미래가 아닌 현재진행 중인 죽음의 실체로 ‘죽어가는 경험’이며 이는 죽음보다 강력한 것이다. 그러한 ‘죽어감’의 체험은 살아있는 동안의 체험으로 죽음은 곧 삶이라는 역설이 가능하며, 그는 나르시시즘적 반성성을 넘어 진정한 성찰에 이르게 된다. ‘죽어간다는 것’은 소멸할 수밖에 없는 여정이며, 이 굴레에서 헤어날 수 없는 불가능성에 이르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그는 불가능성을 초월하는 방법으로 문학적 상상력을 요구하게 되고 생물학적 죽음의 내재성을 발현하였다. 그의 텍스트에서 ‘죽어감’의 접근은 주체가 세계 안에서의 존재 불가능성과 마주하는 고난이었다. 산죽음 상태에 이른 이상은 삶-죽음이라는 이분법을 해체했다. 그러므로 본 논의에서 그가 사용한 작품 질료로써의 죽음이 즉 무화(無化)가 되는 시점이 무한(無限)으로 이어지는 영원을 표상했고, 그 표상이 글쓰기로 생성되었음을 규명하였다. 죽음의 ‘가능성의 불가능성’이라는 관점은 죽음이 실존의 완성을 넘어 오히려 실존을 해체한다는 블랑쇼의 사유로써, 이상 텍스트에 나타난 죽음의 상상력이 곧 삶의 의지였음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이상 시 텍스트의 ‘죽음의 시간성’에 관한 또 다른 독법을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죽음의 시간성 문제
2. 자폐적 내상(內傷)과 박제 형해(形骸)의 산죽음
3. 헤테로크로니아―무화(無化)와 무한(無限)
4. 결론: 아카이브의 글쓰기 생성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명옥 Lee, Myung-Ok. 한양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