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호스피스・완화의료 환경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인식 및 지식에 대한 조사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ole, Awareness and Knowledg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nvironment

정선아, 홍덕기, 이충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by confirming the role, awareness and knowledg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environment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all over the countr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41 questions, including 6 general characteristics, 10 questions related to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hospice·palliative care, 20 questions on knowledge measurement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5 questions on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palliative care .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iority, frequency, and proportion of occupational therapy role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Kruskal-Wallis test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nowledge measure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n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Results : The priority for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high in the order of prepare for death, pain prevention and reduction, and quality of life. Overall awarenes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low, and the need and curriculum for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ere high. Comparative analysi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nowledg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therapis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opinion and level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ccupational therapy and to conduct related research.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환경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인식 및 지식을 확인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 치료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전국의 작업치료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총 41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6문항,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사 역할 관련 10 문항,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측정 20문항,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일반적 특성과 호스피스·완화의료 환경에서의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 스피스·완화의료 지식측정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Mann-Whitney 검정과 Kruskal-Wallis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리고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우선순위는 죽음에 대한 준비, 통증 예방과 감소, 삶의 질 순서로 높았다.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해서는 낮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와 교육과정에 대 한 필요성은 높았다.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에 대한 비교분석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또한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p>.05). 결론 :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에 대한 견해 및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작업치료에 대한 교육과정 개발 및 관련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 우선순위 분석
3.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비교 분석
5.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에 미치는 영향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정선아 Jeong, Sun-A.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박사과정 학생
  • 홍덕기 Hong, Deok-Gi. 원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환경과학 연구소
  • 이충진 Lee, Chong-Jin. 원광효도요양병원 재활센터 작업치료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