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고 학생 희망과 그릿의 군집유형별 학교행복의 차이

원문정보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hope, grit, and school happiness by cluster type

김진철, 김창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hopes and the school happiness of each cluster of grits. Method: 282 high students’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Results: Firs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ope and grit and school happiness. Second, Hope and Grit appeared in four clusters. School happiness had the highest "high psychological capital" group and the lowest "low psychological capital. Conclusion: It was discussed that the agency thinking and effort perseverance of grit should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general high schools. In addition, we propose to develop questionnaires for practical measurements.

한국어

본 연구는 일반고 학생들의 희망, 그릿, 학교행복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희망과 그릿의 군집별 학교행복 차이 를 알아보았다. 세종시 ㅂ고 2, 3학년 282명 자료를 상관분석과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했다. 연구결과, 희망 과 그릿 및 학교행복 간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고 희망 주도사고와 그릿 노력지속성 간 상관관계가 높았다. 다음 으로, 희망과 그릿의 하위변인은 4개 군집으로 나타났다. 학교행복은 ‘높은 심리자본’ 집단이 가장 높고, ‘높은 주도 사고’와, ‘높은 경로사고’는 차이가 없으며, ‘낮은 심리자본’ 이 가장 낮았다. 연구결과, 일반고 교육과정에 주도사고와 노력지속성이 반영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앞으로 실제적 측정을 위한 설문지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학교행복
2.2 희망(Hope)
2.3 그릿(Grit)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측정도구
3.3 자료 분석
4. 연구결과
4.1 희망 및 그릿의 확인적 요인분석
4.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4.3 희망과 그릿의 군집 분류
4.4 일반고 학생의 희망과 그릿의 군집유형별 학교행복의 차이
5. 논의
5.1 일반고 학생 희망, 그릿 및 학교행복 관계
5.2 군집분류
5.3 일반고 학생의 군집유형별 학교행복
6.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진철 Jin-Cheol Kim. 교육부 교육연구관
  • 김창길 Chang-Gil Kim. 목원대학교 소방안전관리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