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국가 사이버 역량평가 모델을 활용한 국내 사이버안보 정책 의제 도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national cybersecurity policy agenda in Korea using national cyber capability assessment model

송민경, 배선하, 김소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ational Cyber Capability Assessment(NCCA) could be used as meaningful information for improving national cyber security policy because 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elements necessary for strengthening national cyber capabilities and the level of each country. However, there were few studies on improving cyber capabilities using the NCCA result in Korea. Therefore, we analyzed the result of National Cyber Power Index(NCPI) conducted by Belfer Center of Harvard Univ. by applying modified-IPA method to derive cybersecurity policy agendas for Korea. As a result, the need to set agendas on surveillance and offensive cyber capability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olicy implementation for intelligence and defense was drawn. Moreover, we suggested need for in-depth study of each policy agenda deduced from preceding research data as a future tasks. And it is expected to increase practical use of NCCA for domestic policy analysis by developing and using our own NCCA model which considered analysis framework proposed in this study.

한국어

국가 사이버 역량평가는 국가 차원의 사이버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요소와 그에 대한 국가별 수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국가 사이버안보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그간 우리나라를 평가대 상국으로 포함하여 평가를 진행한 다양한 평가결과로부터 국내 사이버역량 개선을 위한 정책적 분석은 다소 부족하였 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국 하버드 대학의 벨퍼센터에서 수행한 국가 사이버 추진력 지수(NCPI)의 평가결과에 대해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변형·적용해봄으로써 우리나라 사이버안보 정책 개선 방안을 도출 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는 공격과 감시 목적의 사이버 기능 활용에 관한 정책 의제 형성이 필요하고, 인텔리 전스와 방어에 관한 정책의 실효성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관련 정책 의제를 다루는 국내외 연구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정책개선 방향을 제시하며, 각 정책개선 방향에 관한 심층 연구를 추진할 것을 향후 과제로 제안하였다. 나아가 국가 사이버 역량평가 모델의 정책 분석적 활용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국내 실정을 반영 하는 자체 모델 개발·활용이 필요하며, 이때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결과 분석 방안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국가 사이버 추진력 지수(NCPI) 소개
2.1 NCPI 개요
2.2 우리나라 상세 평가결과
3. 분석방법
3.1 IPA 분석기법과 CII-CCI 매트릭스화 방법
3.2 CII-CCI 매트릭스 도식화 결과
4. 분석결과
4.1 (Ⅳ사분면) 정책 실효성 향상 노력이 필요한 항목
4.2 (Ⅲ사분면)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정책 의제 형성이 필요한 항목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송민경 Minkyoung Song. 국가보안기술연구소
  • 배선하 Sunha Bae. 국가보안기술연구소
  • 김소정 So-Jeong Kim.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