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 콘텐츠 분야

공연예술의 컨택트와 온택트의 공존 가능성 - 국립극장 공영영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Contact and Contactless Theater Experiences - Focused on National Theater of Korea’s Digital Video Programs -

신민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ronavirus pandemic and digital technology demands a large paradigm shift to cultural sector in a way of producing arts and engaging with audience. In respond to this change,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presented performance live broadcasting services. Before pandemic it presented NT Live screenings at a theater. After pandemic it provided a contactless theater experience via online streaming-Dance video: Basics of Hop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echnology and changes in performance environment. For a research it applied a theoretical framework from Marshall Mcluhan’s media ecology. Mcluhan states that different media invited different degrees of participation on the part of a person who chooses to consume a medium. He argues that a hot medium demands a viewer’s attention due to high sensory definition while a cool medium is the opposite, increasing viewer’s invovlement due to low definition. NT Live is a kind of hot medium- that is, it enhance one single sense like a movie. Thus audience does not need to put much effort to understand what a moving image means. The interesting point is that NT Live also contains a part of cool medium. According to a recent audience research, theater-goers and digital video viewers, both groups were satisfied with social experience from different theater experiences – live either digital streaming. It implies that a digital performance program is not second-class, but a different experience at performing arts. Dance video: Basics of Hope is a kind of cool medium- that is, it promotes more interactions between media and audience/viewer. It requires more active participation due to the minim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급변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공연예술과 디지털 영상기술 간 관련성에 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극장이 코로나 발생 전과 후에 상영한 공연영상 프로그램, 와 무용영상 <희망의 기본>을 미디어 생태학 이론의 분석틀을 빌려 분석하고, 유의미한 변화를 탐색해보고자 했다. 디지털 영상기술이 공연예술과 접목해 만들어진 대안적 결과물로 향유되고 있는 공연영상물이 다시 공연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관한 분석에는 마샬 맥루한의 미디어 이론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맥루한의 미디어이론은 기술적 삶으로서 미디어가 인간의 삶에 진입했을 때, 우리의 삶이 기존과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이러한 분석에 유의미하다. 영국 국립극장의 전막 공연 실황 중계 프로그램 는 맥루한의 미디어 이론상, 핫미디어로 분류된다. 관객들은 극장의 대형 스크린에 투사되는 이미지에 감각을 집중하고 주어진 정보를 독해해야 한다. 영화와 마찬가지로 카메라의 위치들, 프레임들의 선택, 동작들을 미리 계획한 의도대로 이미지를 파편화하고, 재조립하여 만든 영상물이기 때문이다. 닫힌 화면이 제공하는 고밀도의 정보에 온 감각을 집중하는 동안에 관객/수용자의 주관적인 해석은 일어나기 어렵다. 흥미로운 점은 극장에 모여 NT Live를 감상하는 수용자로부터 쿨미디어를 경험할 때의 반응이 동시에 확인된 점이다. 무용영상 <희망의 기본>은 미디어와 인간 간에 상호 작용이 높아지는 쿨미디어의 특성을 강하게 보여준다. 무용영상 <희망의 기본>은 온택트(ontact/contactless) 기반의 공연영상이라는 대체물로 시각과 청각의 감각 확장을 끌어내어 미디어와 관객/수용자 간에 열린 해석이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일상의 수행적 퍼포먼스가 디지털 영상이라는 프레임을 거치면서 연행적 퍼포먼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관객/수용자가 무용수/퍼포머의 신체에 대한 새로운 지각이 생성되는 점이 흥미롭다. 여기에서 몸은 외부에서 들어온 서사를 전달하는 매체가 아니라, 그 자체가 직접 서사를 만들어내는 장소가 된다. 미디어의 발전이 인간 감각의 확장뿐 아니라 인지 변화까지 끌어냄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미디어생태학에서 본 기술의 발전과 감각의 확장
2.1. 기술의 발전, 감각의 확장이 이끈 세계관의 변화
2.2. 핫미디어와 쿨미디어
2.3. 미디어생태학과 온택트의 공연예술
Ⅲ. 코로나 이전의 공연영상 사례 분석-NT Live 중심으로
Ⅳ. 코로나 이후의 공연영상 사례 분석-무용영상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민경 Min-Kyoung, Shin.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수료 (Sogang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