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업 고민에 대한 초등교사의 수업 대화 탐색

원문정보

Exploring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conversations for concerns of class

고윤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conversation by sharing teachers' worries and sharing opinions with other teachers. So, this study was designed and carried out according to Van Manen's phenomenological research procedure. Four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but the teachers had a conversation after sharing four lessons, and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perspective of teachers in the convers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eachers are worried about their lessons from a normative point of view. The normative criteria for teachers to watch the course are based on their own self-discipline, but the results are that teachers can only see one aspect of the course through their own norms. Because of these norms, teach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lessons or are worried about them. Second, the norms of teaching by teachers have been relaxed or expanded through inter-teacher dialogue. The conversation between teachers gave teachers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lessons in many ways other than normative ways. It turns out that teachers' view of classes from various perspectives ultimately helps them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한국어

본 연구는 교사의 수업 고민을 다른 교사들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눔으로써 교사들은 수업 을 어떻게 보는지를 탐색하고, 수업 대화의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Van Manen의 ‘현상학하기’ 연구 절차로 본 연구를 설계하여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는 네 명의 교사가 참여 했는데, 교사들은 4편의 수업을 공유한 후 대화를 나누었고, 연구자는 수업 대화에서 교사가 수업을 어떤 관점에서 보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을 대체적으로 규범적 관점에서 보면서 고민을 했다. 교사가 수업을 보는 규범적 기준은 자신이 수업을 하며 자기화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것이지만, 교사들이 각기 설정한 규범을 통해서 수업을 일면만 부각해서 보도록 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규범 때문에 교사가 수업에 만족하지 못하거나, 교사의 고민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둘째, 교사들이 수업을 보는 규범들은 교사 간 수업 대화를 통해 완화되거나 의미가 확대 되었다. 교사들의 수업 대화는 교사가 수업을 규범적 관점 이외에 다양한 측면에서 보는 기 회가 되었다. 교사가 수업을 다양한 관점에서 보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수업 전문성을 향상하 도록 돕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수업을 보는 관점
1. 규범적 관점: 가능한 최적의 교육과정 개발하기
2. 서술적 관점: 교육과정 개발의 과정 기술하기
3. 비판적 관점: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이해
Ⅲ. 연구 방법
1. 연구방법
2. 연구 대상
3. 연구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교사의 수업 기술과 수업에 대한 대화
1. 김교사의 수업: 학습 목표의 고정성
2. 문교사의 수업: 수업 중 발생한 예상치 못한 상황
3. 오교사의 수업: 수업 대상의 선택
4. 최교사의 수업: 탐구 수업을 위한 교사의 역할
Ⅴ. 교사가 수업을 보는 관점에 대한 논의
1. 학습 목표의 고정성을 유연성으로 완화
2. ‘예상치 못한 상황’의 부정적 속성을 중립적으로 완화
3. 수업 대상을 학생 ‘선택’에서 학생 ‘활용’으로 변환
4. 탐구 수업을 위한 교사의 역할 확대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고윤미 Ko, Yunmi. 군산 구암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