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I. 특강

한국어 토의 형태론과 통어론

목차

1. 들어가기
1.1. 한국어의 토는 형태론과 통어론의 양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전통문법에서 최근의 문법에 이르기까지, 형태론과 통어론에서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를 살핀다.
1.2. 이 글에서 사용하는 ‘토’라는 용어는 학교문법의 조사와 어미를 묶은 것인데, ‘굴곡의 가지’를 가리킨다. 이 용어를 사용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2. 토의 통어적 특성
2.1. 임자씨토는 보통 ‘자리토 [격조사], 도움토 [보조조사], 이음토 [접속조사]’로 나누어진다. 자리토의 통어적 기능은 한국어 문법의 초기 연구에서부터 지적되었다
3. 토의 형태적 특성
3.1. 임자씨토는 분포가 다양하여, 기본적으로 임자씨에 붙는 것이지만, 풀이씨[용언]나 어찌씨[부사]에도 붙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토들이 겹칠 수 있는데, 겹침의 순서와 결합에 제약이 있다.
3.2. 풀이씨토는 줄기에 일정한 순서로 결합되며, 맺음토와 안맺음토 사이에는 결합 제약이 있다.
3.3. 풀이씨토와 임자씨토가 겹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통어 기능으로 볼 때, 임자씨토가 마디[절] 또는 월[문장]에 붙은 것이다.
3.4. 이상에 볼 때, 하나의 줄기에 토들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최소자립형식의 수가 엄청나게 많으며,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한국어 토와 문법 체계
4.1. 문법에서는 이상과 같은 토의 형태적 특성과 통어적 특성을 기술하고, 형태론과 통어론의 구조에 반영해야 한다. 이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문제를 어떻게 다루었는지를 살핀다.
4.2. 한국어의 전통문법에서는 이 문제를 어떻게 다루었는지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한국어 전통문법의 세 체계를 정리해 보이면 다음과 같다. (안맺음토는 체계에 따라 다양한데, 풀이씨의 일부로 보거나, 맺음토의 일부로 보았다.)
참고 문헌
보충 자료

저자정보

  • 최규수 부산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