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應劭의 『風俗通義』에 수록된 ‘姓氏篇’의 유실과 輯佚

원문정보

A Study on Disappearance and Restoration of Yingshao’s Fengsutongyi xingshipian

응소의 『풍속통의』에 수록된 ‘성씨편’의 유실과 집일

안광호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62호 2021.07 pp.153-18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 to Chinese historical records, Xingshipian of the Fengsutongyi is regarded as a collection of genealogical studies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 Han Dynasty. Xingshipian of the Fengsutongyi, compiled by Yingshao in the Donghan period, then influenced genealogical studies during the Xinjin, Nanbei, and Tang period. Xingshipian of the Fengsutongyi seems to have been existed until Sui and Tang dynasty, but was vanished in Chinese society in Song period. Philologists in Qing dynasty tried to restore the Xingshipian, and these efforts were made by collecting concerned contexts scattered throughout many historiography. The reason why Philologists in Qing dynasty tried to restore the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Han dynasty’ Classics Movement" in Qing society. They thought that they could approach to the origins of Confucianism through restoration of the Xingshipian.

한국어

중국 譜學史에서 『풍속통의』 성씨편은 春秋戰國 시기와 漢代의 보학을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동한 대 응소에 의해 편찬된 『풍속통의』 성씨편은 이후 서진 시기와 남북조 시기 그리고 당대의 보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풍속통의』 성씨편은 수·당대까지 중국 사회에 전해졌던 것으로 보이지만, 송대에 이르러서는 『풍속통의』 안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그래서 청대 고증학자들은 『풍속통의』 성씨편을 복원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이러한 노력은 여러 문헌에 흩어져 있는 성씨편을 집일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청대 고증학자들이 『풍속통의』 성씨편을 복원하려 하였던 이유는 그들이 전개하였던 ‘한학 운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들은 漢代에 편찬된 『풍속통의』 성씨편을 복원함으로서 보다 근원적인 중국의 모습에 다가갈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성씨편의 전래와 유실
Ⅲ. 성씨편의 輯佚과 의미
Ⅳ. 결론
<국문초록>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안광호 AN, Gwang-Ho.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