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제주기와의 제 양상

제주지역 와요(瓦窯)와 생산·수급체계

원문정보

Production and Supply of Roof-tiles Kilns in Jeju Island

엄기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xistence of Roof-tiles Kilns in Jeju has been widely known. There are Ido-dong Site and Gwangnyeong-ri Site in the Roof-tiles Kilns wher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kiln can be understood through excavation. It is estimated that other ten points exist or existed through field survey, thesis, and messages. It seems likely that the Roof-tiles Kilns construction and tile production technology in Jeju was related to the coast of Jeollanam-do and Jeolla-do regions through literature records and geographic conditions. Through the structural attributes and type classification of the kilns in the Jeollanam-do,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timing of operation of kilns in Jeju. First, the Ido-dong Site No.1 kiln has a planar shape of the firing chamber and a longitudinal section without staircase, the planar form of the stokehole to combustion chamber is inverted trapezoid and the longitudinal section is an external high and internal low type, and there is no the stepped structure on the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Considering the existence of a convex roofing tile without upper raied spot for put on a convex roofing tile and the absence of the curved and sea wave lines, it is estimated that it was operated from the end of Goryeo in the 14th century. In addition, Gwangnyeong-ri Site No. 1 kiln has a planar shape of the firing chamber and a longitudinal section without staircase, the planar form of the stokehole to combustion chamber is inverted trapezoid, and the longitudinal section has an external high and internal low type, and a stepped structure on the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Most of the unearthed site are confirmed as the curved and sea wave lines, so it is considered that they were opera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Based on the archaeological data,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roduction of the Jeju Roof-tiles was started in the 12th century or earlier before rebuilted of Beophwasa Temple. The production of roof tiles in Jeju began in 1270, when Sambyeolcho entered Jeju, and the pattern of local changes was confirmed. Later, in the literature records of the 15th century, the production of roof tiles in Jeju began to be described. In the 16th century, the government offices of Jeonguihyeon and Daejeong-hyeon also covered the roof with straw. Eve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hare of roof tiled houses in Jeju's houses was very low, so it is believed that the tile production in Jeju was operated temporarily based on necessity rather than regular.

한국어

제주지역 와요의 존재는 그 동안 널리 알려져 왔는데,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가마의 세부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가마는 이도동 유적과 광령리 유적이 있으며, 그 외 10개소의 와요지는 지표조사나 논문자료, 전 언 등을 통해 존재하고 있거나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제주지역 와요 축조와 기와 제작 기술은 문헌기록과 지리적 여건 등을 통해 전남해안 및 전라도 지역 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이는데, 전남지역 가마의 구조속성과 형식분류를 통해 제주지역 가마 의 운영시기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먼저 이도동 1호 가마는 구조속성상 소성실의 평면형태와 계단시설 이 없는 종단면형태, 화구~연소실의 평면형태가 역제형이고, 종단면형태가 외고내저형, 연소실 측벽 단 시설이 없는 형태이며, 출토유물상 토수기와의 존재와 청해파문의 부재를 종합해 볼 때, 14세기대 고려 말부터 운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된다. 또한 광령리 1호 가마는 구조속성상 소성실의 평면형태와 계단시설이 없는 종단면형태, 화구~연소실 의 평면형태가 역제형이고, 종단면형태가 외고내저형, 연소실 측벽 단시설이 있는 형태이며, 출토유물상 대부분이 청해파문로 확인되고 있어 이를 종합해 볼 때, 16세기 전반에 운영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고자료로 볼 때 제주기와의 생산이 시작한 시기는 법화사가 중창 이전인 12세기 또는 그 이전일 가 능성이 높고, 본격적인 제주지역 기와의 생산은 삼별초가 탐라에 들어오는 1270년 즈음 시작되어 재지적 변화양상이 확인되기도 한다. 이후 15세기대 홍화각 중수, 관덕정 건립 등이 이루어지며 문헌자료에서 제주의 기와생산이 기술되기 시작되는데, 16세기 정의현과 대정현 관사도 띠로 지붕을 덮었으며, 20세기 초에도 제주도 가옥에서 기와집이 차지하는 비중이 극히 낮은 모습으로 보아 제주의 기와 생산은 상시적 이기 보다는 필요에 의해 임시적으로 운영되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와요지 현황
Ⅲ. 와요의 구조와 운영시기
Ⅳ. 제주지역 기와의 생산·수급체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엄기일 Uhm Ki-il. 진안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