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훈민정음』 해례본에서 초성, 중성, 종성의 설명에 사용된 한자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inese Characters Used to Explain the Beginning, Middle, and Final Consonants in 『Hunminjeongeum』 Haeryebon

김경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by paying attention to the Chinese characters and their sounds used in the explanations in 「yeui」, 「Choseonghae」, 「Jungseonghae」, and 「Jongseonghae」 of the Haerye edition of 『Hunminjeongeum』. The purpose is to find the reporting rules and significance. Only 23 Chinese characters are used to explain the 23 initial consonants, 11 middle consonants, and 8 final consonants in the Haerye edition of 『Hunminjeongeum』. The 23 Chinese characters have different meanings, and the initial consonants and consonants that make up the sound of each letter. Neutrality and finality also have no superficial rules or semantic associations. However, if you look closely, you can see that the Chinese characters used to explain the initial consonants were effectively reused to explain the middle and final consonants, and attention was paid to the order and arrangement of Chinese characters. It was the basis of the calculation to explain all 42 Korean sounds with a minimum of Chinese characters. Since Chinese characters are the language of another language, there are unavoidable limitations in expressing and explaining all the sounds of the Korean language.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23 Chinese characters used to explain the beginning, middle, and final consonants in the Haeryebon of 『Hunminjeongeum』 were a scientific and efficient choice to explain as many phonemes as possible with the minimum number of characters. Through this study, I think that it will be of some help to understand the intention of the creator and to know 『Hunminjeongeum』 right away.

한국어

이 연구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예의」와 「해례」의 《초성해》, 《중성해》, 《중성해》 부분 에서 사용된 한자와 그 음(音)에 주목하여, 우리말의 소리를 설명하는 데 쓰인 한자의 종류 와 특징을 살펴보고 규칙과 의의를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에서 23개 의 초성, 11개의 중성, 8개의 종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한자는 초성의 개수와 같은 23개뿐이다. 그리고 23개의 한자는 서로 규칙이나 통일성을 찾기 힘들고 의미가 제각각 이며 각 글자의 음을 구성하고 있는 초성과 중성, 종성 사이에도 어떠한 표면적 법칙이나 의미적인 연관성이 없다.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면 초성을 설명하는 데 사용했던 한자를 중성과 종성의 설명에도 효과적으로 재사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선택한 한자의 순서와 배열에도 깊은 고민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한자만으로 우리말 소리 42개를 모두 설명하려는 치밀한 계산이 밑바탕에 있었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한자가 다른 나라 말이었기 때문에 우리말의 모든 소리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데에는 어쩔 수 없는 한계가 있어 종성에서는 일부 고유어의 말소리를 이용하여 설명을 시도하기도 하였 다. 그러나 『훈민정음』 해례본에서 초성과 중성, 종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한 23개의 한자는 최소한의 글자로 모든 음가를 설명하기 위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선택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창제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훈민정음』을 바로 아는 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훈민정음』 해례본에 사용된 한자의 종류
3. 『훈민정음』 해례본에 사용된 한자의 특징과 의의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경희 Kim, Kyung-Hee. 제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