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지역과 예술

영남 설장구 박자구조와 장단유형 연구 - 박염 설장구 가락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hythm Structure and the Type of Rhythm in Seoljang-gu, Yeongnam - Focusing on the Rhythm of the Seoljang-gu, Park Yeom -

김한준, 윤혜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s aimed at analyzing it from a musical point of view, focusing on Park Yeom Seol-gu, an entertainment holder of Jinju Samcheonpo Nongak, as a study of Seoljang-gu in Yeongnam. The method of research is as follows, by analyzing the video data of the performance and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beat and rhythm form of the rhythm. First, the Park-yeom snowflakes were divided into six floors: first-half darraggy, second-half dabbing, second-half daddry, second-half blowout, second-half blowout, and second-half blowout, and second-half blowouts showed a tendency to speed up and then slow down again. Second, the duration of the tea ceremony in the first half of the Park-yeom Seoljang-gu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as it takes 53 seconds (26 percent) of the first half, 28 seconds (13.7 percent) of the second half, 33 seconds (16.2 percent) of the second half, and 32 seconds (16.2 percent). Third, the number and rhythm type of Park Yeom Seoljanggu are 40 daggers in the first half, 5 rhythm types in the fifth, 13 and 6 in the second, 17 in the second, 12 in the second, 13 in the second, 23 in the second, and 4 in the third, and 18 in the second half in the third. Fourth, the end type of the Park-yeom Seoljanggu is used as an end of the first half of the tea ceremony with an end of the first half of the tea ceremony, with the end of the first half with the end of the mourning period, and the end of the ceremony is done by using the end of the mourning period. The second half of the year ends with a joint before the wind pole, while the wind pole ends with a set after a chopping pole. Fifth, the addition, which is the center of the Pakyeom Seoljanggu, changes in the rhythm of the jangdan and then slows down in the Jongji-type, and unlike the usual seoljanggu, which is played in pairs with cancer, the palace can be seen playing a lot on the side of the tree side. Sixth, Park Yeom Seoljanggu's small-bed structure has the same structure, with most of the six floors, including the first, the second, the second, the third, the second, the third, and the third, the structure of the jangdan is simple and simple rather than colorful. The unique ruggedness of the Yeongnam region and the development of Sangmo nori are making Seoljang-gu look good.

한국어

본 연구는 영남 설장구 연구로서 진주삼천포농악 예능보유자인 박염 설장구를 중심으로 음악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공연 영상 자료를 분석하여 박자구조, 리듬 형태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염 설장구 빠르기는 다드래기와 덧배 기1은 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덧배기2, 덧배기3, 연풍대는 속도가 빨라졌다가 다시 느려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박염 설장구 전반부 다드래기 연주시간은 전반부 53초(26%), 덧 배기1 28초(13.7%), 덧배기2 33초(16.2%), 덧배기3 24초(11.7%), 후반부 다드래기 33초(16.2%) 를 차지하여 덧배기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박염 설장구 장단 수와 리 듬형태 종류는 전반부 다드래기 40장단과 5가지 리듬형태, 덧배기1 13장단과 6가지 리듬형태, 덧배기2 17장단과12가지 리듬형태, 덧배기3 13장단과 11가지 리듬형태, 후반부 다드래기 23장 단과 4가지 리듬형태, 연풍대 18장단과 5가지 리듬형태이다. 넷째, 박염 설장구 전반부 다드래 기는 덧배기 넘김채 장단으로 종지하고, 덧배기1, 덧배기2, 덧배기3은 맺는 장단을 사용하며 상 모를 새워 돌면서 종지한다. 후반부 다드래기는 연풍대 하기 전 맺음가락으로 종지하고, 연풍대 는 몰아치는 장단 후 맺음가락으로 종지한다. 다섯째, 덧배기는 장단흐름의 변화가 심하고 특히 암, 수 짝을 이뤄서 연주되는 일반적인 설장구와는 달리 궁채가 채편쪽에서 많이 연주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여섯째, 박염 설장구의 소박구조는 전반부 및 후반부 다드래기, 연풍대 등 6가지 마 루가 대부분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장단의 구조가 화려함 보다는 소박하고 담백하다. 영 남지역 특유의 투박함과 상모놀음의 전개가 설장구의 멋을 살리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박염 설장구 가락 분석
1. 박염의 예술세계와 전승계보
2. 박염 설장구 가락 분석
3. 박염 설장구 가락 분석 결과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한준 Kim, Han-Jun. 진주삼천포12차농악
  • 윤혜미 Yoon, Hye-Mee. 진주교육대학교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