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방한 대중문화 관광객의 관광행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Tourism-related Behavior of Popular Cultural Tourists Visiting Korea

백운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ourists according to the types of Korean popular culture as travel motives and to explore their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in the tourism-related decision-making process. A sample of 12,914 leisure tourists from the 2018 foreign tourist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MNL and ANOVA. The popular cultural tourists were categorized into K-food, K-fashion, and K-pop groups. They showed a higher percentage of female tourists, social media usage in the tourism information search, and visits from countries geographically close to Korea. K-pop tourists did not hesitate to choose Korea as the destination and visited Korea the most frequently. They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suggesting loyalty and growth potential.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동기로 작용하는 한국의 대중문화에 따라 관광객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과 의사결정과정에 서의 관광행동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2018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2,914명의 여가관광객 표본에 대해 다항로짓(MNL)분석 및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음식, 패션, 팝으로 구분된 대중문화 관 광객 집단은 그 외 여가관광객 집단과 비교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관광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대중 문화 관광객은 다른 여가관광객에 비하여 여성의 비율과 소셜미디어의 활용,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국가에서 방문 하는 비중이 높았다. 특히 K-pop 관광객은 목적지로서 한국을 선택함에 가장 주저함이 없었고, 한국 방문빈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관광만족도와 재방문의도, 타인추천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충성도와 성장 잠재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세계적 영향력을 넓혀가는 한국 대중문화와 관광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 확장에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문화관광객
2.2 한국 대중문화와 관광
3. 연구방법
3.1 자료 수집
3.2 자료 분석
4. 연구결과
4.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비교
4.2 대중문화 관광객 구분에 따른 인구통계 및 관광선택 비교
4.3 관광패턴 비교
4.4 사후평가 비교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백운지 Unji Baek. 경기대학교 관광이벤트학과 시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