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to investigate the nursing tasks performance, appropriate performer, and job satisfaction in the general wards with sift work. We found that nurses performed direct (45%) and indirect nursing (55%). The workload per shift was 37.2% in the day, 35.6% in the evening, and 27.2% at night. The tasks performed after handover were ‘direct nursing (34.5%)’ and ‘documentation and notification (25.8%)’. Nurses responded that there were some tasks that could be delegated to nursing assistants or had ambiguous boundaries with other medical personnel.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mpliance to the job description of the night shift and job satisfaction (rs=.43, p=.01).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es that will enhance work efficiency based on job analysis by shift work, reduce handover time using EMR system, stmart devices, and clarify appropriate performers.
한국어
본 연구는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실태와 직무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한 2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연구 결과, 전체 간호 업무 중 대상자가 수행한 직접간호는 45%, 간접간호는 55%를 차지하였다. 교대 근무별로 주간에 수행한 업무량은 전체 업무량의 37.2%였고 인계 후 수행한 업무는 ‘직접간호(34.5%)’와 ‘기록과 보고 (25.8%)’였다. 대상자들은 본인이 수행한 업무 중 일부분에 대해 간호보조 인력에게 위임 가능하거나, 타 의료인과 경계 가 모호한 업무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야간근무의 직무이행도와 직무만족도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rs=.43, p=.01)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대근무별 직무분석에 근거한 업무효율성 제고 및 EMR적용, 스마트 기기 등을 활용한 인계시 간 감소 전략, 업무 수행주체를 명확히 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연구변수 및 연구도구
2.4 윤리적 고려
2.5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교대근무별 수행한 업무
3.3 연장근무 시 수행한 업무
3.4 대상자가 인식하는 업무 수행의 주체
3.5 직무기술서에 대한 직무이행도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4. 논의
4.1 교대근무별 업무수행 내용과 빈도
4.2 연장근무 시 업무수행 내용과 빈도
4.3 대상자가 인식한 업무 수행 주체
4.4 직무기술서에 대한 직무이행도와 직무만족도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