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Syntactic Structure and Restructuring Phenomenon of the Japanese “siru” Sentence and the Korean “alda” Sentences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syntactic structures and restructuring phenomena of the “siru” sentences in Japanese and the corresponding “alda” sentences in Korean that appear in complex sentence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shows that although the “siru” sentences in Japanese and the corresponding “alda” sentences in Korean are formed as complex sentences in the deep structure due to the semantic role of the predicates, such syntactic structures can be divided into control structures or raising structures depending on the syntactic roles they perform. In a nutshell, the “siru” sentences in Japanese that take the complementizer of “koto” and the “alda” sentences in Korean that take the complementizer of “il” are of an raising structure, whereas the “siru” sentences that take the complementizer of “no” and “alda” sentences that take the complementizer of “geot” are of a control structure. To present such syntactic structures, this study focuses on the semantic phenomenon related to how idiomatic expressions are interpreted in such syntactic structures.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restructuring is observed in these syntactic structures, by demonstrating, through the incidences of cleft sentences, the fact that both the “siru” sentence in Japanese and the “alda” sentence in Korean show in their surface structure such syntactic phenomena as are found in simple-sentence structures.
한국어
본 연구는 복문으로 나타나는 일본어의 [知る]문과 이와 대응하는 한국어 [알다]문의 심층구조, 기능적 구조 그리고 표층구조의 특징으로 단문화현상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일본어의 [知る]문과 이와 대응하여 나타나는 한국어 [알다]문은 술어의 의미역으로 인해 심층구조에서 복문구조로 생성되지만 이들 구문들이 어떤 통사적 기능을 보이냐에 따라서 컨트롤구조와 상승구조로 구분할 수 있음을 명시하였다. 즉, [こと] 보문소를 취하는 일본어의 [知る]문과 [일] 보문소를 취하는 한국어 [알다]문은 상승구조이며, [の] 보문소를 취하는 [知る]문과 [것] 보문소를 취하는 [알다]문은 컨트롤구조임을 명시하였다. 이와 같은 통사구조를 제시하기 위하여 본 고찰에서는 관용표현이 이들 구문에서 어떠한 해석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의미해석을 이용하였다. 또한 일본어의 [知る]문과 한국어 [알다]문의 표층구조에서는 모두 단문구조가 갖는 통사현상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분열문현상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이들 구문에서 재구조화현상이 관찰된다는 사실을 명시하였다.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통사구조와 재구조화현상
3.1. 심층구조에서의 통사구조
3.2. 심층구조의 기능적 특징에 따른 통사구조
3.3. 기능적으로 본 「知る」 문, 「알다」 문의 통사구조
4. 「知る」 문, 「알다」 문의 재구조화현상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