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水足博泉『太平策』にみる先哲認識の考察

원문정보

A Study on Mizutari Hakusen's Different Treatments of Ancient Sages in His “Taiheisaku”.

朴贊基, 李玲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book twelve of Taiheisaku, Mizutrai Hakusen heavily quotes the writings of Ancient sages such as Confucius, Laozi, Mencius, Zenzi, Zhu Xi, Zhuangzi, Zilu, and others. He uses these quotes quite effectively to justify and advance his scholarly arguments. What is notable with his quote choices is the dominant presence of Confucius, who tops everyone else in terms of frequency amounting to 240 times. Hakusen's deep respect to the authority of Confucius is clearly shown not only in the number of citations, but also in his unwavering agreement with Confucius, which is markedly different from his critical reception of other sages. In other words, Hakusen's attitudes towards ancient sages in the book are divided: Hakusen is always respectful and honor the authority of Confucius, whereas he is often judgmental of others. In the cases where Laozi or Mencius shows some disagreements with Confucius or his ideas, Hakusen always takes side with Confucius and defends him. In this sense, Hakusen is quite engrossed into Confucianism. He praises the great contributions of Confucianism to the different aspects of human society and believes that the rise and fall of a nation depends on whether the monarchs are willing to follow the teachings of Confucianism or not. Therefore he emphasizes a necessity of accepting Confucianism on a national scale and building the national ideology based on it. It is in this context he stresses that Shishuyile contains the core elements of Confucianism, and that denying the importance of the book is nothing other than refusal of confucianism.

한국어

미즈타리 하쿠센 『태평책』 십이 권에는 공자, 노자, 맹자, 증자, 주자, 장자, 자로 등 중국 선현의 담론이 자주 인용된다. 그것은 하쿠센이 자신의 학문적 논리를 주장할 때, 중국 선현 의 논거를 인용함으로써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중에는 공 자 담론의 빈도수가 가장 많아 240회에 달하고 있다. 게다가 인용된 담론에 대해서도 전면적으로 찬동하고 있고, 다른 선현의 담론과는 인용의 빈도수, 담론 내용의 비판 등에 이르기까지,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의 격차가 보인다. 즉 공 자 사상에 대한 전면적 동의와는 다르게 맹자나 노자에 대해서는 약간 비판적인 면을 취하고 있는 점도 있어, 그 차이를 인정할 수 있다. 또 하쿠센은 노자나 맹자가 공자의 담론에 반하는 내용을 취한 경우에는 단호하게 공자의 편에 서서 변론을 전개하는데 이는 공자 사상에 경도되어 있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을 것이 다. 바꾸어 말하면 하쿠센은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공자가 이룬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긍하고, 군주가 공자 사상을 존중하는가 어떤가에 따라 국가의 흥망성쇠가 결부된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공자의 사상을 전면적으로 수용한 후, 거기에 국가의 통치 이념을 정해야 할 것을 역 설하고 있다. 이어서 공자 사상의 핵심은 시서예악(詩書藝楽)에 있고, 이것에 대한 역할을 부 정하는 것은 공자의 사상 그 자체를 부정하는 것과 같다고 주장하고 있다.

목차

Abstract
1. はじめに
2. 『太平策』十二巻の概要
2.1. 『太平策』にみる先哲の影響
3. 水足博泉の先哲認識
3.1. 孔子の思想への傾倒
3.2 老子言論の評価
3. 3孟子言論の批判
4. 終わりに
<参考文献>
<국문요지>

저자정보

  • 朴贊基 박찬기. 木浦大学校教授、日本近世文学
  • 李玲 이영. 木浦大学校大学院、博士課程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