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How to Vitalize Living Culture for Regional Cultural Development : Focus on Yongin Living Cultural Center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ole of living culture centers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regional culture by looking at the issues of the revitalization project of living culture centers based on
한국어
본 연구는 2014년에 제정된 <지역문화진흥법>을 기반으로 시행되고 있는 생활문화센터 활성화 사업의 쟁점을 살 펴보면서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하는 생활문화센터의 역할을 재점검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별히 용인시에 소재하 는 보정역생활문화센터를 대상으로 하여 실질적인 생활문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정책 보고 서와 선행 연구 자료 등을 대상으로 한 문헌조사와 사례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생활문화 개념의 근간이 되는 자발적 이고 일상적인 문화 활동 참여와 활동에 따른 사회적 영향을 통해 보정역생활문화센터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 과, 자발적인 시민 참여시스템과 민관 협력 모델의 마련, 공적 지원의존도와 대비되는 독립적이고 지속 가능한 모델 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는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과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로 보정역생활문화센터 중심의 생활문화 허브(Hub) 구축과 새로운 형태의 생활문화 공간 조성, 지역 특성에 맞는 생 활문화 프로그램 개발, 지역 주민의 자발적‧주체적 참여, 용인시만의 차별화된 생활문화 축제 개최를 활성화 방안으 로 제시하고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생활문화의 개념과 한국적 전개
2. 생활문화센터의 현황과 문제점
Ⅲ. 보정역생활문화센터 핵심전략 도출
1. 보정역생활문화센터 현황(2021.01.기준)
2. 보정역생활문화센터 환경분석(SWOT분석)
3. 국내‧ 외 생활문화 사례가 주는 시사점
4. 보정역생활문화센터 운영 전략 모델
Ⅳ. 보정역생활문화센터 활성화 방안
1. 보정역생활문화센터 중심의 생활문화 허브(Hub) 구축
2. 새로운 형태의 생활문화 공간 조성
3. 지역의 특성에 맞는 생활문화 프로그램 개발
4. 지역주민의 자발적‧주체적 참여
5. 용인시만의 차별화된 생활문화 축제 개최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