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문화 발전을 위한 생활문화 활성화 방안 연구 : 용인시 보정역생활문화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How to Vitalize Living Culture for Regional Cultural Development : Focus on Yongin Living Cultural Center

강수현, 김동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ole of living culture centers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regional culture by looking at the issues of the revitalization project of living culture centers based on enacted in 2014. In particular, I intends to present measures to revitalize the living culture of the Bojeong- Station living culture center located in Yongin.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with a literature survey and a case study on policy reports and prior research materials. Accordingly, the current status of the Bojeong- Station living culture center was analyzed through voluntary and daily cultural activities underlying the concept of living culture and the social impact of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need for an independent and sustainable model prepared for the voluntary participation system of citizens, public-private cooperation model, and dependence on public suppor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implications provided in overseas case analysis. As a result,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a living culture hub centered on Bojeong- Station living culture center, create a new type of living culture space, develop a living culture program suitable for local characteristics, participate voluntarily and subjectively, and promote Yongin City's unique life and culture festival.

한국어

본 연구는 2014년에 제정된 <지역문화진흥법>을 기반으로 시행되고 있는 생활문화센터 활성화 사업의 쟁점을 살 펴보면서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하는 생활문화센터의 역할을 재점검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별히 용인시에 소재하 는 보정역생활문화센터를 대상으로 하여 실질적인 생활문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정책 보고 서와 선행 연구 자료 등을 대상으로 한 문헌조사와 사례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생활문화 개념의 근간이 되는 자발적 이고 일상적인 문화 활동 참여와 활동에 따른 사회적 영향을 통해 보정역생활문화센터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 과, 자발적인 시민 참여시스템과 민관 협력 모델의 마련, 공적 지원의존도와 대비되는 독립적이고 지속 가능한 모델 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는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과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로 보정역생활문화센터 중심의 생활문화 허브(Hub) 구축과 새로운 형태의 생활문화 공간 조성, 지역 특성에 맞는 생 활문화 프로그램 개발, 지역 주민의 자발적‧주체적 참여, 용인시만의 차별화된 생활문화 축제 개최를 활성화 방안으 로 제시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생활문화의 개념과 한국적 전개
2. 생활문화센터의 현황과 문제점
Ⅲ. 보정역생활문화센터 핵심전략 도출
1. 보정역생활문화센터 현황(2021.01.기준)
2. 보정역생활문화센터 환경분석(SWOT분석)
3. 국내‧ 외 생활문화 사례가 주는 시사점
4. 보정역생활문화센터 운영 전략 모델
Ⅳ. 보정역생활문화센터 활성화 방안
1. 보정역생활문화센터 중심의 생활문화 허브(Hub) 구축
2. 새로운 형태의 생활문화 공간 조성
3. 지역의 특성에 맞는 생활문화 프로그램 개발
4. 지역주민의 자발적‧주체적 참여
5. 용인시만의 차별화된 생활문화 축제 개최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강수현 Kang, Su-hyun. (재)용인문화재단 공연전시팀 대리
  • 김동언 Kim, Dong-Eon.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