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효제문자도의 유래와 조형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he Origin and Formation of Hyoje Munjado

한지연, 김경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ituals refer to big and small events that can be seen in our daily lives today. The base of this ritual contains the history of our spiritual culture, in which various religious backgrounds intersect. Minwha is a point where Korean traditional culture can be modernized in the category of illustration.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psycholog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Hyoje Munjado, which can be found in the modern Korean ritual culture. Munjado is a painting found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of the East, and it has been handed down with paintings of various materials depending on the era and environment based on calligraphy. In the case of Hyoje Munjado, it uses eight characters, Hyoje, Je, Chung, Sin, Ye, Ui, Yeom, and Chi, which is the result of the expression of Confucian spiritual culture on top of Korean folk beliefs. In order to analyze the Hyoje Munjado, relics of representative Hyoje Munjado were selected through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ra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8th and 20th centuries and analyzed in the category of materials and shapes. The material analysis analyzed the contents, symbols, and meanings of the eight characters of the Hyoje Munjado. In the formative analysis, the selected artifacts we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text, expression, and color. As a result, Hyoje Munjado is a unique form of painting that starts from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and has its formative personality. From a contemporary visual and artistic perspective, text maps exhibit a fusion characteristic that begins with Eastern calligraphy and combines illustrations with information transfer purposes. This allows modern people to inherit the traditional context of writing and to propose new possibilities for cultural heritage that have been changed into a new style.

한국어

의례(義禮)는 오늘날 우리의 일상에서 만나볼 수 있는 크고 작은 경조사를 가리킨다. 이 의례의 저변 에는 다양한 종교적 배경이 복합적으로 교차한 우리 정신 문화의 역사가 담겨 있다. 민화는 우리 전통문 화가 일러스트레이션의 범주에서 현대적으로 발현될 수 있는 지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정신문화적 배경을 분석하고, 오늘날 한국의 의례 문화에서 그 명맥을 찾아볼 수 있는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를 분 석하였다. 문자도(文子道)는 동양의 한자문화권에서 찾아볼 수 있는 그림으로 서예의 글씨를 기반으로 시대와 환 경에 따라 다양한 소재의 그림이 가미되어 전승해 왔 다.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의 경우 효(孝), 제(悌), 충(忠), 신(信), 예(禮), 의(義), 염(廉), 치(恥) 등 여덟 글자를 활용하여 삼강오륜과 관련된 주제의식을 담고 있는데, 이는 한국의 기복(祈福)적 민간신앙 위 에 유교적 정신문화가 발현된 결과물이다. 이러한 효제문자도를 조형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18~20세기 조선시대의 시대별 특징에 따른 분류를 통한 대표적인 효제문제도 유물을 선정하고 소재와 조형의 범주에서 분석했다. 소재 분석에서는 효제문 자도의 여덟 가지 문자 속에 담긴 고사와 내용, 상징 및 의미를 분석했다. 조형 분석에서는 다시 문자, 표 현 방식, 색상 등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선정된 유물을 분석했다. 그 결과 효제문자도는 한자가 갖는 표의성(表意性) 으로부터 출발하는 독특한 형식의 그림으로서 그 조 형적 개성을 갖추고 있다. 현대의 시각 예술적 관점 에서 문자도는 동양의 서예에서 출발하여 정보전달의 목적을 가진 일러스트레이션이 결합되는 융합적인 특 색을 보인다. 이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전통적인 문자 도의 맥을 잇고, 새로운 양식으로 변화된 문화유산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한국의 정신문화
2.2.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재해석
3. 문자도의 역사와 유래
3.1. 문자도의 유래
3.2. 문자도의 종류
3.3. 동북아시아의 문자도
4. 효제문자도의 소재 및 조형 분석
4.1. 소재 분석
4.2. 조형 분석
4.2.1. 문자
4.2.2. 표현 방식
4.2.3. 색상
5. 문자도의 현대적 계승 제안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한지연 Han, Ji Yon.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 강사
  • 김경선 Kymn, Kyung Sun.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