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ing to confirm that Yukjabaegi's scale and Seongjupuri's scale that is Namdominyo's feature appears differently in professional vocalist's song and do comparison with Sanjo's scale and Pansori's scale. Analyzed frequency that measure by Praat for research. As the result, Seongjupuri's scale is not 'sol-la-do-re-mi' that is known and is 'sol(-1)-la(-41)-do-re(-41)-mi(+28)-fa(+1)'. And Yukjabaegi's scale is not 'mi-sol-la-si-do-re' that is known and is 'mi(+27)-sol#(+14)-la-si (-8)-do(+41)-re #(-17)'. A major issue of existing research is Yukjabaegi's 'si-do' interval. its average interval is 149cent and maximum interval is 207cent. By result of this research, Seongjupuri's 'fa' and Yukjabaegi's 'sol#' that is not to known Tori knew that appear usually in professional music. It was possible through comparison with Sanjo and Pansori. Therefore, I think it is necessary to analyze professional music differently from the known "Tory".
한국어
이 글은 남도민요의 특징으로 알려진 육자배기토리와 성주풀이토리의 음계가 실제 전문성악가들의 노래 에서는 알려진 바와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밝히고 산조 및 판소리의 음계와 비교하기 위해 진행 되었다. 프라트를 사용하여 진동수를 측정하고 음정단위인 센트로 환산하여 분석한 결과 성주풀이 음계는 기존의 ‘솔-라-도-레-미’가 아닌 ‘솔(-1)-라(-41)-도-레(-41)-미(+28)-파(+1)’로 분석되었고 육자배기 의 음계도 이미 알려진 6음 음계 ‘미-솔-라-시-도-레’가 아닌 ‘미(+27)-솔#(+14)-라-시(-8)-도(+41)- 레#(-17)’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주요쟁점이 된 육자배기토리의 ‘시-도’ 평균 음정은 149센 트이고 최대 음정은 207센트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로, 기존의 토리 개념에서 다루지 못했던 성주풀이음계의 ‘파’와 육자배기음계의 ‘솔#’은 산조 및 판소리 음계와의 비교를 통해 전문가들의 음악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문가들의 음악을 분석할 경우 기존의 토리 개념을 벗어난 시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목차
I. 머리말
II. 프라트를 이용한 진동수 측정과 음정계산
III. 육자배기와 성주풀이 음계 및 음정
IV. 산조 및 판소리음계와의 비교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