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임금을 향한 노래, <感君恩>

원문정보

Song for the king, Gamguneun 感君恩

이정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amguneun 感君恩 is a song that contains the meaning of praising the king in the lyrics. The use cases performed in the palace appeared from 15h century, and the situation that was used as a repertoire for Sa Ak 賜樂 is seen until the 17th century. Examples of performances in the private sector have been found from the 16th century, and until the late 19th century, gisaeng 妓生, geumgaek 琴客, singers 佳客, and intellectual class 文人 appeared in various ways as the performers. In addition, the pattern that was played in the region was revealed, and it seems that it was enjoyed nationwide. This aspect was sustainable based on melodies such as Geumhapjabo 琴合字譜, Yanggeumsinbo 梁琴新譜, and Baegunam Geumbo 白雲庵琴譜 in connection with sheet music that enables the reenactment, sharing, and spread of music. It is believed that Yanggeumsinbo 梁琴新譜, which exerted the influence of systematic joint ventures and woodblock prints, contributed to the widespread circulation of Gamguneun 感君恩. Since Gamguneun 感君恩, which was included in later privately compiled music scores, took Yanggeumsinbo 梁琴新譜 as the parent body, the tune was only slightly changed in Yeoeum 餘音 but was not very different overall. In addition, as Gumhapjabo 琴合字譜 and Yanggeumsinbo 梁琴新譜 were produced by wicked people in the court, they had a certain relationship with the songs performed in the court, and the melody of Gumhapjabo 琴合字譜 and Daeakhubo 大樂後譜 Volume 5 showed affinity, and Yanggeumsinbo 梁琴新譜 there was a similarity between the melodies of Daeakhubo 大樂後譜 Volume 6. Gamguneun 感君恩, played by the court and the private sector, showed differences in instrumental arrangement depending on the score, but it was musically connected, which allowed us to gauge the pattern of musical exchange between the court and the private sector. Changes such as the formation of derivative songs or diversification of musical instrument arrangements, such as Youngsan Hoesang 靈山會相, Yeominrak 與民樂, and Boheoja 步虛子, which were leaked from the court to the public and settled as Pungryu music 風流音樂 were not noticeable, It is believed that Gamguneun 感君恩 had a special meaning to the intellectuals as the feature of a song with a classical atmosphere that does not overdo it, with the heart for the king in the lyrics' fits the musical tastes of the literary people. The symbolism of ‘chunggun 忠君’ in the lyrics of the song,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of the dynasty era, was able to sustain a long life force until the 19th century.

한국어

<감군은(感君恩)>은 임금을 송축하는 의미를 가사에 담았던 노래이다. 궁중에서 연주된 용례가 세종대 부터 나타나며, 이후 사악(賜樂)의 레파토리로 활용되었던 정황이 17세기까지 남아있다. 민간에서의 연주 사례는 16세기부터 산견되며 19세기 후반까지 기생(妓生), 금객(琴客), 가객(歌客), 문인(文人) 등이 연주 주체로 다양하게 등장한다. 아울러 지방에서 연주되었던 양상도 드러나 전국적으로 향유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양상은 음악의 재연(再演) 공유 확산을 가능하게 하는 악보와 연계되어 금합자보(琴合字譜), 양금신보(梁琴新譜), 백운암금보(白雲庵琴譜) 등의 선율을 토대로 지속 가능했고, 특히 금합자보에 체계화 된 합자보와 목판본의 영향력을 발휘한 양금신보가 <감군은>이 널리 유통되는데 일조하였다. 후대에 민간에서 편찬된 악보에 수록된 <감군은>이 양금신보를 모체로 삼았기 때문에 그 가락도 여음에 서만 약간 변화가 있었을 뿐 전체적으로 크게 다르지 않았다. 또한 궁중 악인 출신에 의해 금합자보, 양금신보가 제작되면서 궁중에서 연행된 가락과 일정한 관련성을 지녀, 금합자보와 대악후보 권5의 선율이 친연성을 나타냈고, 양금신보와 대악후보 권6의 선율이 유사성을 띠기도 했다. 궁중과 민간에서 연주된 <감군은>은 악보에 따라 악기편성에서 차이가 나타나기도 했지만, 음악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이를 통해 궁중과 민간의 음악 교류 양상을 가늠할 수 있었다. 궁중에서 민간으로 유출되어 풍류악곡으로 정착한 <영산회상(靈山會相)>, <여민락(與民樂)>, <보허자(步虛子)>처럼 파생곡을 형성하거 나, 악기편성을 다양하게 하는 등의 변화가 두드러지지는 않았지만 ‘나라를 향한, 곧 임금을 향한 마음이 가사에 담긴, 지나치지 않는 고아한 분위기를 지닌 노래’라는 풍모가 문인들의 음악적 취향에 부합되어 지식층에게 <감군은>은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 즉, 노래 가사에 깃든 ‘충군(忠君)’이라는 상징성으로 인해 왕조시대라는 시대적인 특성과 맞물려 19세기까지 긴 생명력을 이어갈 수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I. 머리말
II. <감군은>과 고악보
1. 『금합자보』의 <감군은>
2. 『양금신보』의 <감군은>
3. 『대악후보』의 <감군은>
III. <감군은> 향유양상
1. 궁중의 <감군은> 향유양상
2. 민간의 <감군은> 향유양상
I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부록악보]

저자정보

  • 이정희 Lee, Jung-hee.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