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n Job Satisfaction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tructural Empowerment and Self-Leadership
초록
영어
Research has been conducted continuously to determine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public institutions. Apparently employees of public institutions with the hierarchy culture have low job satisfacti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s by acting as a driving force fo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the recognition that management innovation can be pursued by improv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has led to various studies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However, few studies have revealed the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cluding job satisfaction, by composing relationships with other variables of organizational behavior including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of 33 government funded institutions in Gyeongsangbuk-do, the largest except for the metropolitan area. Out of 1,288 copies collected, 1,247 valid sampl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data were calculated using SPSS 23, and using AMOS 23, the fitness of the measurement model was analyz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PROCESS Macro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and the PROCESS Macro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e detailed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sub-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the clan culture, the hierarchy culture, and the adhocracy culture of the local government funded institution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empowerment mediated the influence of the clan culture, the adhocracy culture, and the market culture on job satisfa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funded public institutions. Finally, in analysis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 of structural empowermen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nd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of the local government funded institution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was significant in the path of the clan culture, the adhocracy culture, and the market culture through structural empowerment to job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f each public institution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related variables. Based on thi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desirable to apply various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ublic institution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in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by utiliz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structural empowerment, and self-leadership of government funded institutions of local governments and providing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innov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과 출자·출연기관의 조직문화 혁신을 위해 조직문화의 유형과 요인들을 분석하고 조직 구성원들 의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구조적 임파워먼트와 셀프리더십의 역할을 분석하기위해 수 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의 조직문화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구조적 임파워먼트의 매개 효과와 셀프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경북도청 출자·출연기관 임직원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288부 를 회수하였으며, 결측치가 많은 설문지를 제외하고 1,247부의 유효 설문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을 활 용하여 기본적인 통계량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AMOS 23을 활용하여 측정모형에 대한 측정모형의 적합도 등을 분석하였다. 가설에 대한 검증에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조절효과 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조 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분석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 째, 본 연구는 조직문화의 하위유형 각각에 대해 직무만족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는데, 출자· 출연 기관의 관계지향문화, 위계지향 문화, 혁신지향문화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나타내고, 과업지향문화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지방자치단체 출 자·출연 공공기관의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과업지향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임파워먼트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 고, 이러한 간접효과는 셀프리더십에 의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 공공기관의 조직문화유형과 조직구성원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구조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및 셀프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의 경우, 각 조직문화 하위유형 별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의 조직문화와 구조적 임파워먼트, 셀 프리더십를 활용한 직무만족 영향요인 파악 및 조직혁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1. 조직문화유형, 직무만족, 구조적 임파워먼트의 관계
2. 조직문화유형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구조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3. 구조적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4. 조직문화유형, 구조적 임파워먼트,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III. 연구 방법
1. 연구 모형
2. 측정 도구
3. 자료분석방법
IV. 연구 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3. 회귀분석
4. 매개효과분석
5. 조절효과분석
6.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V. 결론
1. 연구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