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흥국의 가족 소유 및 경영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자본시장 태동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Family Ownership, Family Management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an Emerging Economy : Evidence from Korean Listed Companies

안세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family ownership and family management on performance in an emerging economy.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d data of 311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in 1979 and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family ownership and family management on the company's performance. The study results show that family ownership is associated with a superior corporate performance, contrary to the research hypothesis. This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prior research on companies from Asian emerging economies which suggests that family ownership is associated with superior corporate performance. In regard to family involvement in CEO position, companies with founder CEO show better performance than other companies, which provides meaningful supports for literature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founder CEO.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of negative influence of family involvement in management on performance even in the generation after the founder. These findings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institutionalism based views of corporate governance, given that this study utilized early-stage corporate data from an emerging country’s capital market that is institutionally different from capital markets in developed countries. In addition, given that there is no evidence of a negative impact of family ownership and family management on the performance for Korean listed compan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 meaningful reference for companies who concern governance structure design and management succession.

한국어

본 연구는 신흥국 (emerging market) 자본시장 태동기에 있어서 가족의 소유 (ownership) 와 경영 (management) 이 기업의 성과에 미친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1979년 한국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 되어있던 311개 기업을 대상으로 가족의 소유 및 경영참여 여부 가 기업의 성과에 미친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의 소유참여와 관련해서는, 가족의 사회 정서적 가치 (socio-emotional wealth) 관점에서 수립한 가설의 예측과 달리, 가족의 소유 지분 (family ownership) 이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의 경영참여와 관련해서는 최고경영자가 창업자 (founder CEO) 인 경우는 가족의 경영참여가 기 업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창업자 이후 세대 (descendent CEO) 에서는 가족 경영자 여부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 기업에서의 창업자의 기업가적 지향성 (entrepreneurial orientation) 이 발현된 결과로 해석해 볼 수 있어 관련 연구에 함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아시아권 신흥국에서의 가족 소 유 지분과 경영 참여가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최근의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가 선진국 자본시장과 제도 적 기반이 상이한 신흥국 자본시장의 초기 단계 기업 데이터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기업 지배구조의 제도주의적 관점의 논의에 의미 있 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국 상장기업들에 있어 가족의 소유와 경영이 기업의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는 근거는 발견되지 않아, 한국 기업들의 지배구조 및 승계에 있어 참고할만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1. 가족 기업의 정의
2. 가족의 소유지분과 사회문화적 가치 (Socio-emotional Wealth)
3. 가족 경영진과 기업가적 지향성(Entrepreneurial Orientation)
III. 연구 방법론
1. 표본 및 자료수집
2. 연구 모형
3. 변수의 측정
IV. 연구결과
1. 기초통계량 및 상관관계
V.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세연 Ahn, Se-Yeon.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