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판소리 평타령 장단고 중모리 장단의 성립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Rhythm of Pansori Pyeongtaryeong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Jungmori Rhythm

김인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hythm and Buchimsae of the Pyeongtaryeong rhythm, which are often regarded as the Jungmori rhythm,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oday, according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Pyeongtaryeong rhythm. Ultimately, this article deduced the creation process of the Jungmori rhythm through the concept of Pyeongtaryeong. It is argued that the Jungmori rhythm did not expand from the 12/8, Jungjungmori system, but from the overlapping rhythm of 6/4 rhythms such as the Eotjungmori type. The view that the 12/4 Jungmori rhythm was directly expanded from the 12/8 Jungjungmori rhythm does not reveal the rhythmic characteristics or functions of the Jungmori rhythm. Rather,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narrative musical functions and meanings of Pyeongtaryeong Jangdan in accordance with the rhythm and rhythm types. A Jungmori part of song of blessing by Choi, Gwang-ryeol, Jungmori part pansori by Bang, Jin-gwan, and Jemasu Jangdan part 2 in Eastcoast shaman ritual in Korean peninsula reveal some clues to feature of Pyeongtaryeong. These musics are shown a form of paralleling out the lyrics accepted by the two rhythms of Jungmori today. These rhythmic forms and Buchimsae are considered a form of change in the Jungmori rhythm today, but in the early days these dense forms of lyrics would have been more common. In terms of rhythm characteristics, Pyeongtaryeong rhythm is a form of singing a lot of words, so it is a rhythm that sounds like talking. It is perfect for singing long editorials such as the Song of blessings, and it also has excellent functions in portraying many events and characters like epic song. Such rhythmic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to have become a musical device and stepping stone for pansori to start with narrative music. The reason why Pyeongtaryeong rhythm is transformed into the current Jungmori rhythm may be related to the sophistication and artistry of pansori. Pyeongtaryeong rhythm focuses on delivering lyrics, which limits the pursuit of musical change, making it inappropriate for dramatic expressions or lyrical descriptions. As pansori has been artistically refined beyond its function as a music that conveys stories, rhythmic characteristics of Pyeongtaryeong have moved toward pursuing more diverse expressions. The pursuit of sophistication of lyrics and musical beauty took place at the same time, and in the process, it was possible to have the rhythm of today. The rhythm type of Pyeongtaryeong, considered in this paper, is exactly the same as the past pansori masterpieces mentioned that they originated from the Eotjungmori rhythm. In this paper, Pyeongtaryeong rhythm was regarded as the old form of Jungmori rhythm, and the two terms were used in a limited manner. "Pyeongtaryeong Jangdan" was used to refer to the old form of Jungmori rhythm, which is connected with two Jungmori rhythm, while "Jungmori Jangdan" refers to the rhythm type of Jungmori rhythm of today's. In short, if there was the emergence of Pyeongtaryeong rhythm in the background of pansori's full-fledged rise to narrative music, I believe that pansori's rebirth occurred in today's Jungmori rhythm type in the process of re-leaping to art music.

한국어

고제 판소리에 보이는 평타령 장단은 흔히 중모리 장단으로 간주되지만 그 형태는 오늘날과 달랐을 것임을 방진관과 최광렬의 중모리 대목 리듬형과 사설붙임새를 통하여 재구하여 보았다. 궁극적으로 중모리 장단의 고형(古型)으로서 평타령이라는 개념을 통해 중모리 장단의 생성 과정 을 추론해 본 글이다. 중모리 장단이 3소박 4박 중중모리 계통에서 확대된 것이 아니라 엇중모리 형과 같은 6박 장단 두 개가 중첩한 겹장단에서 오늘날의 여느장단 형태로 이행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12박 중모리 장단이 4박 계통의 중중모리형 장단에서 직접 확대되었다고 보는 견해로는 중모리 장단의 리듬적 특성이나 기능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그보다는 평타령 장단 대목이 갖는 서사음악 적 기능과 의미를 장단 리듬형에 부합시켜 유추해 볼 필요가 있다. 최광렬의 고사창과 방진관의 판소리 중모리 대목, 그리고 동해안굿의 사서무가 제마수 2장 등은 평타령 장단(중모리 장단의 고형)의 중요한 특징을 시사한다. 이들 음악은 오늘날의 중모리 두 장단이 수용하는 사설을 밀집시 켜 부르는 형태다. 오늘날 중모리장단에서는 일종의 변화형으로 간주되는 이와 같은 밀집 붙임 형태가 중모리 장단 형성 초기에는 더 일반적이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평타령 장단은 많은 말을 수용해 부르는 형태이므로 노래이면서 말하는 듯이 연출된다. 고사소리와 같은 긴 사설을 부르는 데 제격이며 서사무가와 같이 허다한 사건과 인물을 그려내는 데에도 탁월하다. 이와 같은 장단형 이야말로 판소리가 서사 음악으로 발달하면서 수용한 요긴한 음악적 장치이자 발판이었다고 본다. 평타령 장단이 오늘날의 중모리 장단으로 변모하게 되는 계기는 판소리의 세련화, 예술화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평타령 장단은 사설 전달은 뛰어나지만 음악적 변화에는 제한을 갖게 되어 극적인 내용의 표현이나 서정적인 묘사에는 어울리지 않는 측면이 있다. 판소리가 이야기를 전달 하는 음악을 넘어 창법적 숙련도와 예술적 성취를 모색하면서 평타령 장단 대목은 진중한 표현을 추구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 과정에서 오늘날과 같은 여느 장단형의 리듬꼴을 갖추게 되었다고 본다. 과거 판소리 명창들이 중모리 장단에 대하여 엇중모리 장단에서 비롯되었다고 언급한 것과 본고에서 고찰한 평타령의 리듬형은 정확하게 일치한다. 본고에서는 평타령 장단을 중모리 장단 의 고형으로 간주하여 두 가지 용어를 각각 한정적으로 사용했다. ‘평타령 장단’은 엇중모리형 장단 두 개를 이어 붙인 중모리 장단의 고형(古型)을, ‘중모리 장단’은 오늘날의 12박 대박 층위의 리듬형을 가리킨다. 요컨대 판소리가 서사음악으로 발돋움하게 된 배경에 중모리 장단(평타령 장단)이 있었다면, 판소리가 예술음악으로 재도약하면서 오늘날의 장단 리듬형으로 재탄생하게 되었다고 본다. 중모리 장단과 같으면서도 다른 고형(古型)의 장단(평타령) 리듬형을 상정하여 중모리 장단의 성립을 도출해보았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논의의 배경
3. 평타령 장단(중모리 장단의 古型)에 대한 실마리
4. 중모리 장단의 성립 추론
5. 결론
참고문헌
부록악보
ABSTRACT

저자정보

  • 김인숙 Kim, In-Suk.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