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하치오지센닌도신(八王子千人同心)을 통해 본 에도시대 신분제의 모순

원문정보

The contradiction of the Edo-era status system through Hachioji Sennindoshin

양익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achioji Sennin doshin is a group under the control of the Kobitogasira who served the Sengoku Daimyo Takeda. During the Edo Shogunate era, they belonged to Yari Bugyo, and served as a guard in the territory and a guard of Nikko Dosyogu in Hachioji. That is, they served as a samurai. However, the status was treated as a Hyakusyo. Sennindoshin was born as a group that served as a samurai, but as the period of peace continued, financial difficulties deepened, and they also served as a Hyakusyo in agriculture outside the period of his service. Although they was treated as a Hyakusyo, they began to advocate the use of their surname, a symbol of samurai status, in the 18th century. The allegation of such a Sennin doshin was to request the surname to be entered in the Syuomonaratameninbetutyo. Such a claim was rejected by the Nanushi who were in charge of creating the Syuomonaratameninbetutyo, and was reported to the shogunate. However, the Shogunate also rejected the claim of Sennin doshi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historical materials that have been treated as samurai, such as prohibiting writing in the Meyasubako, prohibiting Nanushi, permitting side jobs in agriculture due to low salary, and prohibiting possession of fields.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shogunate adopted the shi-no-ko-sho status system of the occupation based on the role, but defined the status of people who were on the border of status for convenience. This supports Ishimoda Sho’s assertion that his status was fixed by political and national order. Also, in the Edo Shogunate, the political and national order was maintained by the application of contradictory laws in order to maintain the order established by the Shogunate in the early days.

한국어

하치오지센닌도신(八王子千人同心)은 다케다(武田) 가문의 고비토가시라(小人頭)에 의해 통솔되었던 군사집단으로 에도시대에는 막부의 야리부교(鑓奉行)에 소속된 센닌 가시라 아래서 하치오지를 중심으로 영국내의 경비와 일광동조궁의 경비를 주 임무로 하는 무사의 역(役)을 수행하였지만 신분으로서는 백성으로 간주되었다. 센닌도신은 무사로서의 임무를 수행하는 집단으로 시작되었지만 평화가 계속됨에 따라 박봉으로 인한 경제적 궁핍으로 임무시 이외에는 농업에 종사하여 백성의 역을 겸하는 존재가 되었다. 신분상으로는 농민의 취급을 받아왔으나 18세기에 들어와 무사의 신분의 상징 인 성(姓)의 사용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센닌도신의 주장은 종문개인별장(宗門改人別帳)에 성의 기입을 주장하는 것이었고 이러한 주장은 종문개인별장 작성 담당자였던 나누시(名主)들에게 거부당해 결국 막부에게까지 보고되었다. 그러나 막부에서도 이러 한 주장을 허가하지 않았다. 한편 메야스바코(目安箱)를 통한 소송이나 나누시 겸업의 금지, 봉록이 적어 농업 겸업을 허가한다는 문서, 전답의 소지를 불허하는 등 무사로서 의 취급을 하고 있었던 사료들이 다량 존재한다. 이는 막부가 역(役)을 기준으로 사농 공상이라는 신분제를 사회적 근간으로 채용하면서도 신분간의 경계에 있던 존재들에 게 편의에 따라 신분을 규정하였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이는 신분이 정치적, 국 가적 질서에 의해 고정되었다는 이시모다 쇼의 주장을 뒷받침해 주는 것이며 에도막부 에 있어 정치적, 국가적 질서는 초기에 막부가 정한 신분제를 유지시키기 위한 모순된 법적용에 의해 유지되었다.

일본어

八王子千人同心は戦国大名武田氏に仕えた小人頭の配下にあった集団で、江戸幕府 時代には鑓奉行に属し、八王子を中心に領国内の警備や日光の火の番を勤めた。すなわ ち、武士としての役を勤めた。しかし、身分は百姓として扱われた。千人同心は武士と しての役を勤める集団として生まれたが、平和の時期が持続される中で経済的な困窮が 深くなり、役を勤める時期以外には農業を行う百姓の役も勤めていた。身分上では百姓 として扱われていたが、18世紀に入り武士身分の象徴でもある苗字の使用を主張し始め た。このような千人同心の主張は宗門改人別帳に苗字記入を求めることであった。この ような主張は宗門改人別帳の作成担当者であった名主たちに拒否され、幕府まで報告さ れた。しかし、幕府もこのような千人同心の主張に不可方針を下した。一方、目安箱に 書き入れ禁止、名主倦怠の禁止、俸禄が少ないため農業の兼業を許可、田畑の所有を禁 止するなど武士としての扱いをした史料がたくさん存在する。このことは幕府が役を基 準とする士農工商という身分制を採用しながらも身分間の境界にあった人々を便宜的に 身分を規定したことが指摘できる。これは身分が政治的·国家的な秩序により固定され たという石母田正の主張を裏付けることである。また、江戸幕府において政治的·国家 的秩序は初期に幕府が定めた秩序を維持するために矛盾的な法の適用によって維持され たことである。

목차

<요지>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 소개
Ⅲ. 하치오지센닌도신의 성립
Ⅳ. 센닌도신의 신분 변화
Ⅳ.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양익모 Yang, Ik-mo. 한국외국대학교 동북아외교통상전공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