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프로젝트 기반 훈련 평가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4차 산업혁명 선도인력 양성사업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Project-Based Training Evaluation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 Focusing on the Manpower Training Project Lea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정선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rovement plans by analyzing evaluation and monitoring data for project-based training, which is applied in the field of digital new technology. To this end, a project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eader training project) was selected, and evaluation and monitoring data (22 courses of 19 institutions), which were the most recently evaluated for project-based training, were secured and evaluated. Evaluation grade technical statistics,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data, and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monitoring data. In conclusions, first, the evaluation grades (A-D grades) of the project-based training course are 11 courses for B grade (50%), 6 courses for C grade (27.3%), and 5 courses for D grade (22.7%). And the overall average was 76.41 (including additional points, 75.77 excluding additional points). The indicators with the lowest average conversion of 100 points are the participation of the partner companies in the system area (68.18) and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in the areas of participation and results (69.09). In terms of acceptance of new technological changes and orientation to industrial sites, it received not very high evaluation. Second, the indicators that commonly determine the evaluation grades (B-C grades, C-D grades) of the project-based training course are the result creativity (+) and practical useability (+). The higher the B grade, the higher the evaluation was for the excellence of efforts and results in the qualitative part of the project implementation. The C grade received relatively high evaluation in part of the excellence of efforts and results in the basic and formal part of project execution. Third, the issues related to project operation and evaluation derived through monitoring were the project execution method (linked to the partner company, the training institution itself), the project topic and level, and the project presentation used for hiring interviews by companies. In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plan,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roject implementation guideline so that the project linked to the partner company can be activated in the right direc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valuation indices for project participation/results by paying attention to the positive changes and achievement improvement of trainees through project execution. Third, there is a need for more revitalization of project presentations operated as part of recruitment interviews by participating companies. Fourth, in order to more vitalize project-based training from the trainee'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award an excellent project result.

한국어

이 연구는 디지털 신기술 분야에서 주로 적용하고 있는 프로젝트 기반 훈련에 대한 평가와 모니터링 자료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 지원 사업(4차 산업혁명 선도인력 양성사업)을 선정하고, 가장 최근에 프로젝트 기반 훈련에 대한 평가를 첫 실시한 평가와 모니터링 자 료(19개 기관의 22개 과정)를 확보하여, 평가 자료에 대한 평가등급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판별분석을 실시하고, 모니터링 자료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첫째, 프로젝트 기반 훈련과정의 평가등급(A~D등급)은 B등급이 11개 과정(50%), C등급이 6 개 과정(27.3%), D등급이 5개 과정(22.7%)이며, 전체 평균은 76.41(가점포함, 가점제외 75.77)로 나타 났다. 100점 평균환산이 가장 낮은 지표는 체계영역의 협약기업 참여(68.18)와 참여·결과영역의 실무활 용 가능성(69.09)으로, 직업훈련이 지향하는 프로젝트 기반 훈련의 도입 취지가 담긴 협약기업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변화 수용성과 산업현장 지향성 측면에서는 그다지 높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둘째, 프로젝트 기반 훈련과정의 평가등급(B-C등급, C-D등급)을 공통적으로 판별해주는 지표는 결과물 창의 성(+)과 실무활용 가능성(+)으로 나타났다. B등급일수록 프로젝트 수행의 질적인 부분에 대한 노력과 결과 우수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고. C등급일수록 프로젝트 수행의 기초·형식적인 부분에 대한 노력 과 결과 우수성 일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D등급일수록 프로젝트의 질적인 부분과 형식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결과 우수성도 낮은 평가를 받았다. 셋째, 모니터링을 통해 도출된 프로젝트 운영·평가에 관한 이슈는 프로젝트 수행 방식(협약기업 연계, 훈련기관 자체), 프로젝트 주제 및 수준, 기업체 채용면접으로 활용되는 프로젝트 발표회 등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에 대한 제언은 첫째, 협약기업 연계 프로젝트가 올바른 방향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프로 젝트 수행 가이드라인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훈련생들의 긍정적인 변화 및 성 취도 향상에 주목하여 프로젝트 참여·결과 영역에 대한 평가지표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협약기업이 참여하여 채용면접의 일환으로 운영되는 프로젝트 발표회를 보다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프로젝 트 기반 훈련을 훈련생 관점에서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우수 프로젝트 결과물에 대한 시상 내지는 프로젝트 경진대회 개최, 해커톤 개최 등 훈련생들이 프로젝트 수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훈 련 내외에서의 견인책이 필요하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4차 산업혁명 선도인력 양성사업
2.2 프로젝트 기반 훈련 평가
Ⅲ. 연구방법
3.1 연구설계
3.2 분석대상
3.3 평가도구
3.4 자료수집 및 분석
Ⅳ. 연구결과
4.1 프로젝트 기반 훈련 평가 등급 분포 및 평가지표 기술통계
4.2 프로젝트 기반 훈련 평가 등급과 평가지표의 상관분석 및 판별분석
4.3 프로젝트 기반 훈련 운영·평가 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정선정 Sun-jeong Jeong.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직업능력심사평가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