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전기 금속활자 번각본의 판각 현상 분석 - 초주갑인자혼입보자 번각본 「眞西山讀書記乙集上大學衍義」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Engraving of Metal Type Re-engraved Vers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re-engraved version of Jinseosandokseogieuljipsangdaehakyeoneui -

조선전기 금속활자 번각본의 판각 현상 분석 - 초주갑인자혼입보자 번각본 「진서산독서기을집상대학연의」를 중심으로 -

신정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tents were deal with about the re-engraved printing (Bungak). First, I examined the meaning of the Bungak version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books during the Joseon Dynasty. Second, the degree and difference of the changes, appearing when the actual Bungak was made, were examined through comparison in the form and content of the original and Bungak version. Third, I investigated the current version of the Bungak version of metal type version print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and analyzed detailed aspects and contents of the publication of the Bungak version.

한국어

飜刻은 활자본 등을 저본으로, 저본의 낱장을 목판에 뒤집어 새겨내는 출판방식이며 조선시대 중앙 활자 인쇄의 공급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방 관아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금속활자 번각본의 사례로서, 「眞西山讀書記乙集上大學衍義」의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과 번각본의 대조를 통해 글자 모양의 변화, 변란․어미 등 판식의 차이점, 본문 내용 변화 등 번각 과정을 거치면서 발생되는 외형적, 내용적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외 조선전기 금속활자본을 저본으로 간행된 주요 번각 사례를 조사하여 각 판본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번각본의 저본 판정에 있어 행자수ㆍ변란ㆍ어미 등의 판식과 내용 구성은 물론 글자의 배치, 이체자의 사용 여부 등 종합적인 검토를 통해 저본과 번각본의 선후 관계를 확정지어야 하겠다. 번각본에서 저본의 전체적인 서체는 반영되었지만 흘림의 단순화, 곡선의 직선화 등 획이 간소화되는 경향이 자주 나타났다. 또한 본문에 비해 판심 어미에서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났고 목재의 수축률에 따라 저본에 비해 판의 세로크기가 축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초록>

1. 서론
2. 飜刻의 의미와 특징
2.1 번각의 의미
2.2 번각의 특징
3. 조선전기 금속활자 번각본의 판각 사례
3.1 「眞西山讀書記乙集上大學衍義」의 번각
3.2 주요 금속활자본의 번각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정엽 Shin, Jeong-Yeop. 인사혁신처 기록연구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