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癸未中字本 『新刊類編歷擧三場文選對策』의 意義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The Samjang Munseon Printed by Movable Type Casted by Seojeogwon in Goryeo Dynasty

계미중자본 『신간류편력거삼장문선대책』의 의의

裵賢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1992, Cho, Byeong-sun published an article on The Samjang Munseon and on the dates of publication by movable type cas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He emphasized that The Samjang Munseon was published between the period of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He assumed that the Goryeo dynasty edition was published as early as in 1341 and no later than 1370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e Joseon Dynasty edition was published in as early as 1403 and no later than 1420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he defined the movable types used for printing The Samjang Munseon were not Gye-mi movable type casted in Joseon Dynasty in 1403, but the one casted earlier by Seojeogwon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ere was a counterargument to this point of view, however the research did not progress any further, because The Samjang Munseon was kept in a private library. But I had an opportunity to investigate these rare books, and I had supplemented a few loose ends on the year of publications, movable types us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se books. Through an actual inspection, I was confident that The Samjang Munseon were printed in type casted by Seojeogwon of the Goryeo dynasty. So I collected research materials of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and compared the books printed in type casted by Seojeogwon of Goryeo dynasty, i.e. The Sasi Chan-yo, The Sipchil Sachan Gogeum Tong-yo and The Songjo Pyojeon Chongryu. As a result, I concluded that the movable types used to print The Samjang Munseon were not necessarily Gye-mi movable types that were casted in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 medium sized Gye-mi movable types casted in the Goryeo dynasty differ from Gye-mi movable types casted in the Joseon Dynasty in shape and form, number of lines and characters, edge lines, size of characters and degree of corrosion. So the types of medium and small size used in the books printed with Gye-mi movable type were casted by Seojeogwon of Goryeo dynasty and supplemented by the new ones casted in Goryeo and Joseon Dynasty. The Samjang Munseon printed in the Goryeo dynasty is regarded as one of the last printed books printed by the Goryeo dynasty’s official movable types, and it is one of the first printed books printed by the Joseon Dynasty’s official movable types. Therefore, The Samjang Munseon printed by the medium sized Gye-mi movable types is an important material providing the missing link between the movable types of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한국어

誠庵 趙炳淳은 본인 수장의 『新刊類編歷擧三場文選』(이하 『삼장문선』)이 고려 서적원의 금속활자로 고려 말과 선초에 각각 인출되었음을 1992년에 발표하였었다. 고려본 『삼장문선』의 간행년도는 원나라의 목판본이 고려에 유입될 수 있는 충혜왕 복위 2년(1341)이 상한선이고, 명에 처음으로 과거생을 파견한 공민왕 19년(1370)을 하한선으로 보았다. 선초본의 간행년도는 태종 3년(1403)에서 세종 2년(1420) 사이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두 서적 인출에 사용된 활자는 태종 3년(1403)에 주성한 계미자의 중자가 아니고, 고려의 서적원 활자라고 밝혔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었으나, 『삼장문선』은 비장되어 쉽사리 열람할 수 없었으므로 연구는 더 이상 진척되지 못하였다. 필자는 『삼장문선』을 실사한 후 고려 서적원 활자라고 확신하고, 이를 재차 증명하기 위해 본고를 집필하였다. 이에 고려와 조선시대의 관련 기록에서 방증을 수집하였고, 동일 활자로 인출된 『四時 纂要』와 대조하였고, 『十七史纂古今通要』와 『宋朝表牋總類』의 중자도 대조하였다. 이에 『삼장문선』 인출에 사용된 계미중자는 계미자의 대자와 모양과 형식이 다르며, 그 인출본의 행자수에서 도 난맥상을 보이고 있고, 광곽과 계선, 활자의 크기와 부식도로 보아 태종년간에 처음 주조한 것으로 볼 수 없었다. 선초 계미자 주성시 경제적인 여건을 고려하여 대자만 주조하고 중소자는 고려 서적원의 활자를 사용한 것이다. 따라서 계미자본에 보이는 중ㆍ소 활자는 고려 서적원의 활자에 고려말의 보자와 조선초의 보자를 보충한 것이다. 고려본 『삼장문선』은 고려 관주의 금속활자로 간행한 고려 최후 간본의 하나인 것으로 보이며, 선초본 『삼장 문선』은 조선에서 금속활자로 간행한 최초 간본의 하나란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계미중자본 『삼장문선』은 고려말과 조선초 활자주조와 서적간행의 연결고리를 밝힐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는 중요한 서적이라 할 수 있다.

목차

<초록>

1. 緖言
2. 『三場文選』의 導入
3. 『三場文選』의 流通과 現傳 版本
3.1 癸未中字本
3.2 庚子字本
3.3 元朝 木版本의 翻刻本
3.4 庚子字本 覆刻本
4. 癸未中字本『三場文選』의 意義
4.1 癸未字의 鑄成
4.2 癸未中字本의 特徵
4.3 高麗本과 鮮初本의 字樣
4.4 癸未中字本 『三場文選』의 意義
5. 結言
<참고문헌>

저자정보

  • 裵賢淑 배현숙. 계명문화대학교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