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귀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illingness to Return to Farm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강성일, 하규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e to the aging of the rural population and the depopulation of the region, the extinction of rural regions is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raising serious concerns about the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the region. In this situation, the number of returning and returning households is increasing due to the retirement of the baby boomers in the city, job shortages due to the long-term economic downturn, an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m looking forward to it. Unlike the motives of returning to farming and returning villages, which were made up of economic motives immediately after the IMF, in recent years, returning farming and returning villages have occurred due to various social motives such as rural preference, farming, and leisure life. However, the survival rate after returning home is very low.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willingness to return to farming,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aration for return to farming, environmental incentives, policy support, burden of failure, family support and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potential returnees among prospective farmers, and a total of 320 copies of data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his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farming wil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 variable, the discontinuous variable was converted into a dummy variable, and the multicollinearity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was confirmed by the 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In the case of the variance expansion coefficient, if it is less than 10,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problem of multicollinearit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readiness to return to farming, that is, the higher the funding to return to farming and the network to prepare for returning to farming,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return to farming.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between and willingness to return to farming. On the other han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were not analyzed between environmental incentives, support for farmers, burden of failure and willingness to return to farming. For a successful return to farming,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readiness for returning to farming, and then return to farming should be made, and support of the family is necessary to cultivate this will.

한국어

농촌의 인구고령화 및 지역의 과소화로 인하여 농촌지역의 소멸이 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 이어서 지역의 유지, 보전에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시의 베이비붐 세대 은퇴, 장 기 경기침체에 따른 일자리 부족, 정부와 자치단체의 지원 등으로 귀농・귀촌 가구는 증가되고 있어 농촌 으로의 유입은 농업・농촌의 새로운 활력소로 작용할 것임을 기대하고 있다. 귀농・귀촌의 동기가 IMF 직 후 경제적 동기로 이루어진 것과는 달리 최근에는 농촌선호, 영농, 여가생활 등 다양한 사회적 동기에 의해 귀농・귀촌이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귀농율은 매우 낮은 상황이다. 귀농 인구는 지역 사회의 인구 증가, 농업 노동력 증가, 도농 교류 촉진 등 지역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도시・농촌 불균 형 심화, 고용 심화 등 다양한 국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최근 귀농자의 특성 으로 많은 가족 단위, 귀농지의 전국적으로 확대, 귀농 연령대의 감소를 들 수 있다. 귀농자의 지속적인 유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귀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해야 한다. 특히 귀농은 주거 공간의 변화나 일의 변화 뿐만 아니라 다른 새로운 환경으로의 삶의 변화라는 점을 감안할 때 다양한 귀농정책에 대한 효과적인 정책 대책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시의 적절한 연구 과제라고 보여진다. 본 연구는 귀 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로서, 귀농준비, 환경적 유인요인, 정책지원, 실패부담감, 가족지지와 귀농의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귀농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귀농자를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320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귀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위 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제변수인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에서 불연속 변수는 더미변수화 하여 투 입하였으며, 독립변수 간의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은 분산 팽창 계수(VIF, variance inflation factor) 로 확인하였다. 분산 팽창 계수의 경우 10 이하이면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는데, 본 연 구에서는 VIF가 10이하의 값을 보여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농준비도가 높을수록, 즉 귀농자금준비, 귀농준비네트워크가 높을수록 귀농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귀농자금준비, 귀 농준비네트워크, 기술지원과 귀농의지 사이에서 가족지지의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환경적 유인요인, 창농지원, 실패부담감과 귀농의지 사이에서는 가족지지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분석되지 않았다. 성공적인 귀농을 위해서는 귀농준비도를 높인 후 귀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고, 이러한 귀 농의지를 함양할 수 있도록 그에 따른 가족지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1 귀농의 개념 및 유형
2.2 귀농의 사회 경제적 영향
2.3 귀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Ⅲ. 연구 방법
3.1 연구모형
3.2 연구가설
3.3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4.1 표본의 특성
4.2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4.3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
4.4 가설검증
4.5 가설검증 결과 요약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성일 Kang seong il.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박사과정
  • 하규수 Ha kyu soo.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