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제강점기 사찰재산대장(寺刹財産臺帳)의 작성 배경과 그 역사적 의미

원문정보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Creation of the Register of Buddhist Temple Properties and Its Significance

김성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essay explores the creation of the Register of Buddhist Temple Properties and the list of Buddhist temple properties during the colonial era in Korea, while also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the Register of Buddhist Temple Properties as a preserved record.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required a list of property held by temples across the nation in order to regulate the management and sale of temple properties in colonial Korea. The work of making such a list was an extensive undertaking that targeted not just temple properties, but also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is undertaking was carried out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by utilizing non-regular employees and the administration apparatus of Joseon. The list of temple proprieties was based on the Buddhist Temple Law (Sachallyeong), Buddhist Temple Law Enforcement Regulations (Sachallyeong Sihaeng Gyuchik), and Temple Act (Sabeop), and therefore was the result of laws and enforcement orders enacted b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contrast, the Register of Buddhist Temple Properties, which was made after 1928, came about due to factors internal to Korean Buddhism itself, and was made using survey results collected b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After establishing New Schools as a part of missionary work for modernizing and popularizing Buddhism, the debt of Buddhist temples continued to increase. Also, Buddhist temples had to bear the living costs of the increasing number of monks with famil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Moreover, land owned by temples was continually used for newly constructed public buildings, roads, and bridges. The Buddhist Temple Law granted chief monks an overabundance of authority, and they began abusing their power in regards to temples’ financial problems, resulting in many cases of temples losing assets. Therefore, the Register of Buddhist Temple Properties, which was made during this specific moment, had the ability to document cases of damage, theft, or sale of temple assets, meaning it could function as a check against illicit buying and selling by chief monks of temples. According to the Buddhist Temple Law, the sale or disposal of temple properties had to be approved b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and therefore in cases where a property was sold without registering it with the Governor-General, responsibility would fall on the head chief in charge of the properties.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1911 promulgation of the Buddhist Temple Law, Buddhist Temple Law Enforcement Regulations, and the Temple Act, we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creation of the list of Buddhist temple properties. Also, it is likely that the Register of Buddhist Temple Properties was created in order to stop the indiscriminate sale of temple properties resulting from internal problems in Korean Buddhism in the latter half of the 1920s.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일제강점기 사찰재산목록과 <사찰재산대장>을 만들게 된 과정과 배경, 그리고 보존된 기록으로서의 <사찰재산대장>이 갖는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총독부에서는 식민지 조선의 사찰재산에 대한 관리와 처분에 대한 통제를 위한 기본 자료로서 전국 사찰이 보유하고 있는 사찰재산의 목록을 필요로 했다. 이러한 목록 화 작업은 일제 강점기 동안 촉탁직과 조선의 행정조직을 이용하여 사찰재산뿐만 아 니라 유형․무형의 문화자산에 대해서도 광범위하게 행해졌다. 1911년 이후 제정․개정된 <사찰령>, <사찰령시행규칙>, <사법> 등에 의거하여 만들어진 사찰재산목록이 총독부에서 제정한 법과 시행령에 따라 제작된 것이라면, 1928년 이후에 만들어진 <사찰재산대장>은 한국불교의 내적인 요인으로 인해 총독 부가 나서서 조사한 결과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 근대화․대중 화를 위한 포교의 과정에서 신식학교를 만들고 난 후 부채가 계속 늘어났으며, 일제 강점기 동안 늘어난 대처승들의 생활비를 부담해야 했다. 또한 새로이 건설되는 공 공건물이나 도로, 다리 등에 사찰 소유 토지가 편입되는 사례가 잦았으며, <사찰령> 으로 인해 과도하게 권한이 집중된 주지들이 사찰재정문제에 전횡을 하게 되면서 사 찰재산의 손실이 생기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이에 따라 특정 시점에 만들어진 <사찰재산대장>을 기준으로 재고조사를 하면 그 훼손이나 도난, 매각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찰의 주지들이 몰래 내다 파는 것을 견제하는 의미도 있었다. <사찰령>에 의해 사찰재산의 처분은 총독부 승 인사항이기 때문에 사찰재산이 총독부에 신고 되지 않고 매각․분실되는 경우 관리 자인 주지의 책임으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결국 ‘사찰재산목록’을 작성한 배경에는 1911년에 발포된 <사찰령>과 <사찰령시행 규칙>, <사법> 등의 외부적 요인이 작용했고, 1920년대 후반에는 한국불교의 내부적 문제로 인해 사찰재산의 임의 매각을 방지하기 위해 <사찰재산대장>을 작성했던 것 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한글요약
Ⅰ. 서론
Ⅱ. 일제강점기 한국불교의 상황
Ⅲ. 일제의 <사찰령>과 <사찰령시행규칙>
Ⅳ. <사찰재산대장> 작성의 배경
1. <사찰령>과 <사찰령시행규칙>에 의거한 사찰재산목록 작성
2. 1928년 이후의 <사찰재산대장> : 한국불교 내부의 문제
Ⅴ. 결론 : <사찰재산대장>의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성순 Kim, Sung-sun.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