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창업지원사업 운영제도 개선방안 : 창업지원기관과의 의견불일치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uggestion to Improve the Start-up Support Project Operating Scheme : Based on Cases of Disagreement with Government Sponsors

안혜진, 이승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disagreement on start-up satisfaction, job stress, and corporate development based on cases of disagreement between (preliminary) start-up entrepreneurs and government sponsors which participated in start-up support projects from 2019 to 2020. By doing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sychology of participants in building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with government sponsors, improving satisfaction among start-up entrepreneurs, helping to deliver start-up outcomes, and promoting a start-up ecosystem. To that end, seven cases were analysed with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 findings. First, participants often participated in projects in an effort to attract investments. In fact, start-up entrepreneurs in their 20s or 30s were experiencing financial difficulties as they had fewer available assets than funds required for their start-ups. Hence, government sponsors may need to consider this when planning and promoting support projects. Second, difficulties during projects were identified as cases of complex documentation procedures, unclear information, and problematic responses from staff, and difficult-to-understand terminologies, unclear guidelines, and a lack of explanation from staff served as potential causes for disagreement. In this regard, participants favoured simplified documentation, communicating clear information, and changing the attitude of the staff, and demanded a more systematic organisation of government sponsors. Third, the effect of disagreement on start-up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positive (two participants), negative (four participants), and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one participant). Positive reasons included strengthening start-up competencies, while negative reasons included failure to choose the location, decreased self-confidence and trust in others, and job stress. Meanwhile, Rapport between start-up entrepreneurs and government sponsors made it more likely that disagreement would be positively accepted, which suggests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build a close relationship in advance. Furthermore, as more direct involvement in start-up ideas resulted in a greater backlash, clear guidelines about involvement need to be provided after building rapport. Fourth, while the effect of start-up support projects on corporate development was found to be positive (five participants) and negative (two participants), the effect of disagreement on corporate development was evaluated as negative except for one participant. The reasons included conflicts with vendors, delayed work, and financial damages (multiple answers allowed). Accordingly, as participants felt disagree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various aspects of their corporate operations, it would be important to consider their actual circumstances and simplify operating guidelines. Fifth, in regard to overall satisfaction with start-up support projects, three participants indicated dissatisfaction, and four indicated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who said disagree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start-up satisfaction and corporate development were dissatisfied with the entire start-up support scheme. Henc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d change the system including external mediators or chatbots while promoting a shift in awareness (culture) in government sponsors . More specifically, government sponsors must clearly recognise the projects not as ‘Public Aid’ but as ‘Investment Projects’ and serve participants based on such awar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new directions for changing the entire system by enhancing professionalism in government sponsors through professional training and reorganising their organisational structur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operating status of recent start-up support projects, gathered feedback from the ground, and discovered limitations and improvements with the current operating scheme. At a time of growing interest and support policies for start-ups, it would be necessary to continue to review real cases and identify improvements for quality growth.

한국어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창업지원사업에 참여했던 (예비) 창업자와 기관의 의견불 일치 사례들을 중심으로 창업만족, 직무스트레스, 기업 발전에 끼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참여자의 심리를 이해해 기관과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형성하고, 창업자의 만족도를 높이며, 창업 성과를 거둬 창업생태계의 활성화를 이루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에 심층 면 접법과 문헌 연구법을 활용해 총 7개의 사례를 분석했으며, 그 결과와 이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의 주된 참여 계기는 투자금 유치였다. 실제로 20~30대의 창업자는 대부분 예상 창업 필요 자금에 비해 자산이 적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기관에서 이를 고려해 지원사업을 기획 및 홍보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서류의 복잡한 절차, 명확하지 않은 정보, 담당자 의 대응 문제가 사업 수행 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 나타났으며, 용어의 난해함ㆍ불명확한 지침ㆍ 담당자의 설명 부족 등은 향후 의견불일치의 원인이 됐다. 이에 참여자들은 서류의 간소화, 명확 한 정보 전달, 담당자의 태도 변화를 원했으며 나아가 근본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조직 내 시스 템의 정립이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았다. 셋째, 의견불일치가 창업만족에 끼친 영향 은 긍정(2명), 부정(4명), 1명은 긍정도 부정도 아니라고 말했다. 긍정적인 이유로는 창업 역량강화, 부정적인 이유에는 입지 선택 실패, 자신감 및 타인에 대한 신뢰도 저하, 직무스트레스가 해당한다. 한편 기관과 창업자 간 라포(Rapport)가 존재할수록 의견불일치를 긍정적으로 받아들 일 수 있기에 미리 상호 간 친밀한 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이 발견됐다. 또한 아이 템에 직접적 관여가 일어날수록 반감이 커졌으므로 라포의 형성 이후 관여에 대한 명확한 가이 드라인이 제시돼야 한다. 넷째, 창업지원사업이 기업 발전에 끼친 영향에 대해 긍정(5명), 부정(2 명)으로 나타난 반면 의견불일치가 기업 발전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는 1명을 제외하곤 모두 부 정적으로 평가했다. 그 이유로는 업체와의 갈등, 업무 지연, 경제적 손해가 있다(중복 포함). 이 처럼 참여자들은 다각적 측면에서 회사 운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느껴 이들이 처한 현 실적인 상황을 고려해 운영 방침이 간소화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창업지원사업의 전반적인 만 족도 평가에 3명이 불만족, 4명이 만족을 표했다. 특히 의견불일치가 창업만족과 기업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답한 이들은 창업지원사업 전반에도 불만족을 느꼈다. 따라서 중재를 위한 외부 조정자, 챗봇의 등장 등 시스템 도입 및 변화가 이뤄지는 동시에 기관 내 인식(문화) 변화 촉구도 병행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 즉 기관에서 본 사업이 ‘공적 부조(Public Aid)’ 지원이 아닌 ‘투자 사업(Investment Projects)’임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이런 인식을 기반 으로 참여자들을 응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적 교육을 통해 기관의 전문성 을 강화하고 조직 체계를 개편하는 등 전체적인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방향을 새롭게 제 시했다. 또한 최근 창업지원사업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아 현재 운 영제도의 한계와 개선점을 새로이 발견하였다. 창업에 대한 관심과 지원정책이 늘어나고 있는 지금, 양질의 성장을 위해서는 실사례들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개선점을 찾아나가야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혜진 An, Hye-Jin. 중앙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박사과정
  • 이승하 Lee, Seung-Ha.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