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 자율성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탐구

원문정보

Understanding school autonom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박은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autonomy. Theoretical frameworks for research analysis are institutional and authoritarian point of view. The research method is an interview belonging to a qualitative case study that has undergone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identification through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After relatedness of categories was grasped and combined, teachers’ paradigm model for the school autonomy was mad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en categorizations of school autonomy were derived from an institutional point of view. These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representative categories: 'autonomous awareness', 'student-centered education', and 'trust/duty in official documents'. The categorized results from the viewpoint of authoritarian are ‘avoidance of responsibility/conflict', 'complacency', 'lack of pride of curriculum' and 'dependence on imitation/cases'. Also, through the paradigm model for school autonomy, the subtle and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categories was structurally confirmed. In the conclusion,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value of school autonomy and needs of school field should be respected, concrete measures were presented in terms of personal, policy and theoretical aspects for the proper establishment of school autonom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자율성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교사 12명으로 혁신학교 경험, 보직 수행 이력, 교직 경력 등을 고려하여 의도적으로 표집 했다. 연구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은 제도적 관점과 권위주의적 관점이다. 연구방법은 질적 사례연 구에 속하는 면담으로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하여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쳤 다. 연구자는 이러한 절차를 통해 생성된 범주들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조합하여 학교 자율성에 대 한 교사의 인식체계 모형을 만들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제도적 관점에서 학교 자율성의 범주화 는 10개가 도출되었고 이는 대표적인 3가지로 압축할 수 있는데, ‘자율성 인지’, ‘학생중심 교육’, ‘공문에 대한 신뢰/의무’다. 권위주의적 관점으로 범주화한 결과는‘책임/갈등 피하기’, ‘안주’, ‘교육과 정 자부심 결여’, ‘모방/사례 의존’이다. 또 학교 자율성에 대한 인식체계 모형을 통하여 중심현상의 인과/중재/맥락 조건, 반응 및 작용, 결과를 확인하고 범주들 사이의 내재적인 관계를 구조적으로 확인했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학교 자율성이 지닌 시대적 가치와 현장의 요구를 존 중한다는 전제하에 자율성 신장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개인적, 정책적, 이론적 측면으로 제시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1. 핵심 용어의 개념화
2. 제도적 관점으로 본 학교교육체제
3. 권위주의적 관점으로 본 교사
4.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1. 연구자 배경
2. 연구대상
3. 면담
4.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5. 신뢰성 확보
Ⅳ. 연구결과
1. 이론적 틀에 따른 교사 인식의 범주화
2. 학교 자율성에 대한 교사 인식체계 모형
Ⅴ. 논의와 결론
1. 논의
2.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은주 Park, Eun-Ju. 양지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