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ims to design the flipped learning by Integrated approach for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proposed by D. Lee Fink)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er developed course-level aims according to taxonomy of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composed of 6category: foundational knowledge, application, integration, human dimension, caring, how to learn. Second, Researcher developed the basic learning goals in individual space and basic learning goals in group space according to Bloom’s new taxonomy. Lastly As The heart of flipped learning is in-class learning, the group space activities were developed before individual space activities.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Fink가 제안한‘의미 있는 학습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통합적 강좌 설계 모형(12단계)’을 적용하여 교직이론 과목(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2021-1학기)을 플립 러닝으 로 운영하기 위한 강좌 설계를 하였다. 또한 Talbert가 (Fink의 모형을 바탕으로) 제시한‘거 꾸로 학습경험’을 위한 7단계를 적용하여 단원 수준의 수업을 설계하였다. 강좌 설계에서, 학습목표는 의미 있는 학습을 구성하는 6개 영역(토대 지식, 적용, 통합, 인간적 차원, 관심, 학습하는 방법)에 걸쳐 16개로 구성하였다. 학생 평가는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를 원칙으로 하여, 자기사정과 동료사정, 그리고 학습성찰을 중심으로 설계하였다. 수업 전에 교재읽기 전략(SQ3R)을 활용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였고, 수업 중에는 JIgsaw2 협력학습, 넷이서 토론하기 등으로 심화학습과 문제해결학습을 하도록 설계하였다. 단원 수준의 수업 설계에서는 교재의 구성 순서에 따라 학습목표의 목록을 만든 다음에, 이를 Bloom의 신교육 목표 분류체계에 따른 인지적 복잡성을 기준으로 배열한 후에 수업 전의 기본목표와 수업 중의 심화목표로 분류하였다. 학습활동을 계획할 때는 집단공간 활동을 먼저 수립하고 나서 개별공간 활동과 수업 후 활동을 계획하였다.
목차
Abstract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대학에서 플립 러닝의 설계 경향과 요구
2. 의미 있는 학습경험을 위한 통합적 강좌 설계6)의 이해
Ⅲ. 연구의 방법
1. 연구의 절차
2. 연구의 내용
Ⅳ. 연구의 결과 및 논의
1. 강좌 수준의 설계
2. 수업 수준의 설계
Ⅴ. 연구의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