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인천항의 전쟁 피해와 전후 복구사업의 전개

원문정보

War Damage and the Process of Postwar Rehabilitation Projects at Incheon Port

박광명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6집 2021.06 pp.189-21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dern Incheon Port was an important gateway to national capital. However, as it was classified as a port directly managed by the U.S. and UN forces through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Korean War, the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of Incheon Port was bound to be restricted to some extent. In addition, reflecting the existing history, most of the modern Incheon Port's historical descriptions don’t properly analyze aspects of postwar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in the 1950s. This article aims to restore the history of post-war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of Incheon Port in the 1950s a fter the liberation that had been neg lected. Incheon Port was the gateway to the national road to the capital, Seoul, and was the representative port of Korea after Busan Port. In particular, Incheon Port was the occupied space of the U.S. military, which prioritized the occupation of Seoul, the capital, and was the first place where the U.S. military stationed after liberation. Japanese colonial era Incheon Port, whose role as a port was reduced due to World War II, was used as an export and import channel for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was used as an import channel for aid supplies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However, due to the Korean War, Incheon Port lost its function as a port, and discussions and plans for port rehabilitation continued in the 1950s after the war. This article restored the rehabilitation process of Incheon Port before the fullfledged development solidarity by taking a closer look at the process of losing its function as a port of Incheon Port at the time of the Reds Marched(1·4후퇴) and the post-war rehabilit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port development in the 1950s focused on ‘post-war rehabilitation’ rather than ‘development’ in Incheon Port.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restore the appearance of Incheon Port, which had been recovering from the war damages before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Incheon Port. In the 1950s, Incheon Port continued to serve as a gateway to the capital through the import of important materials, and the long-term port operation plan planned for that period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Incheon Port later.

한국어

근현대 인천항은 국도의 관문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미군정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미군과 UN군이 직접 관리하는 항구로 분류되면서, 인천항의 전후 복구와 개발은 일정 부 분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더불어 기존의 역사를 반영하듯, 근현대 인천항의 역사 서술들은 대부분 1950년대의 전후 복구와 개발이라는 측면에 대해 제대로 분석하지 않고 있다. 본고는 그간 소외 받아왔던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 인천항의 전후 복구와 개발의 역사를 복원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인천항은 수도 서울로 향하는 국도의 관문으로, 부산항에 이어 한국을 대표하는 대표적 항 구였다. 특히 인천항은 수도 서울 점령을 최우선으로 한 미군의 진주 공간으로, 해방 이후 미군 이 가장 먼저 진주했던 곳이었다. 일제강점기 제2차세계대전의 영향으로 항구로서의 역할이 축소되 었던 인천항은 미군정의 수출입 통로로 활용되었고, 정부 수립을 전후로 해서는 원조 물자의 수입 창구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한국전쟁으로 인해 인천항은 항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고, 전쟁 이 후 항만 복구 계획에 대한 논의와 계획이 1950년대에 지속되었다. 본고는 1·4후퇴 당시 인천항의 항구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는 과정과 전후 복구 과정에 대해 자 세히 살펴봄으로써 본격적인 개발연대기 이전 인천항의 복구 과정을 복원하였다. 더불어 1950년대 인천항이 ‘개발’이 아닌 ‘전후 복구’에 초점을 맞추어 항만 개발이 진행된 배경과 과정에 대해 살 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격적인 인천항의 발전 이전 시기, 전쟁 피해를 복구하던 인천항의 모습을 역 시 다시 복원하고자 한다. 1950년대에도 인천항은 중요 물자의 수입을 통한 국도 관문으로서의 역할을 계속하였고, 해당 시기 계획된 장기 항만 운영계획은 이후 인천항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해방 진주의 공간과 국도 항구로의 역할
Ⅲ. 인천항의 전쟁 피해와 복구 논의
Ⅳ. 전후 인천항의 복구와 주변부 발전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광명 Park, Kwang-myeong. 상지대학교 외래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