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Original Article

교육시설 화재위험성 평가를 위한 기초조사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Basic Investigation for the Fire Risk Assessment of Education Facilities

이성일, 함은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Fire load analysis was conducted to secure basic data for evaluating fire risk of educational facilities. In order to calculate the fire loa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basic data related to the fire load of school facilities were collected. Method: The basic data were the definition and types of fire loads, combustion heat data for the calculation of fire loads. The fire load was evaluated by multiplying the combustion heat by the weight of the combustibles in the compartment when calculating the fire load. Result: As for the fixed combustible materials of A-elementary school, the floor was mainly made of wood, in consideration of emotion and safety in the classroom, music room, and school office, and the rest of the compartments were made of stone. The ceiling and walls were made of gypsum board and concrete, so they were not combustible. The typical inflammable items in each room were desks, chairs, and lockers in the classroom, and the laboratory equipment box and experimental tool box were the main components in the science room, and books, bookshelves, and reading equipment occupied a large proportion in the library room. Conclusion: 'The fire loads of A-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the combustibles loaded were in the order of library, computer room, English learning room, teacher's office, general classroom, science hall, and music room.

한국어

연구목적: 교육시설 화재위험성 평가를 위한 기초 데이터 확보를 위하여 화재하중 분석하였다. 사전조 사로 화재하중을 산정하기 위해 학교시설의 화재하중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방법: 기 초자료는 화재하중의 정의 및 종류, 화재하중 산정을 위한 연소열 데이터 화재하중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진행하였고 화재하중 산출시 구획실에 존재하는 가연물 중량에 해당 연소열을 곱하여 산정하 였다. 연구결과: A 초등학교의 고정가연물은 교실, 음악실, 교무실은 정서나 안전을 고려하여 바닥이 주로 목재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나머지 구획실은 석재로 이루어졌다. 천장과 벽은 석고보드, 콘크리트 로 되어있어 가연물에 속하지 않았다. 각 실별로 대표적인 적재가연물은 교실은 책상, 의자, 사물함 등 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실은 실험기구함, 실험도구함이 주를 이루어었으며 도서실은 책과 서가, 열람기 구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결론: A 초등학교의 적재가연물에 따른 적재화재하중은 도서실, 컴퓨터 실, 영어학습실, 교무실, 일반교실, 과학관, 음악실의 순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요약
서론
화재하중 조사방법
화재하중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수집
화재하중
연소열 자료조사
교실
과학관
교무실
도서실
음악실
종합학습실
컴퓨터실
화재하중 결과분석
고정화재하중
적재화재하중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성일 Sung-Il Lee. Team Leader. Apartment Housing Division, Gyeonggi-do Provincial Office, Suwon, Republic of
  • 함은구 Eun-Gu Ham. Professor, Department of Fire Protection & Safety Engineering, Open Cyber University of Korea, Seoul, Republic of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