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Adolescent Subjective Health Status on Happiness: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채인석, 장효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on happiness. To this end, using data from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2018(2nd year) data disclosure date(December 1, 2020)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SPSS 25.0 and Process Macro 3.5 (Model 4) were used to target 2,438 first-year cohorts of middle school students nationwid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positively predicted happi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depression and amulet. Third, depression was found to significantly predict happiness as a talisman. Fourth, depression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feelings of happines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raises the feeling of happiness, but also indirectly lowers it through depres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tried to suggest policies and programs that can improv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reduce depres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2차년도) 데이터 공개 자료(2020.12.1.)를 활용하여 전국의 중학생 1학년 코호트 2,438명을 대상으로 SPSS 25.0과 Process Macro 3.5(Model 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행복감을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주관적 건강상태는 우울과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은 행복감에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울은 주관적 건강 상태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관적 건강상태는 행복 감을 높이기도 하지만 우울을 통해 간접적으로 낮추기도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 주관적 건강상태를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과 프로그램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2. 청소년의 우울
3. 청소년의 행복감
4.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행복감과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모형
2. 측정도구
3. 자료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기술통계 분석
3. 상관관계 분석
4. 주관적 건강상태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5. 우울의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채인석 Chae, In-Seok.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 장효열 Jang, Hyo-Yeol. 전북과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