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육상지도자의 유형에 따른 선수생활만족과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Athlete's Life Satisfaction and Athlete's Endurance on the Types of Athletics Leaders

오경수, 정성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type of leader on athlete's satisfaction and athletic endurance, and ultimately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and efficient training and training programs at track and field sit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response data of a total of 181 athletes belonging to the university and the vocational team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First, the type of leader's democratic, social and positive compensation had a significant bearing on task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coaching leadership satisfaction. The authoritative types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bearing on task performance satisfaction. The type of leader and the type of democratic type of leader and the type of positive compens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bearing on the possibility of athletic endurance. The type of authoritarianism has a correlation with reinforcement. And social types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bearing on propensity, possibility, and reinforcement.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type of leader of a competitor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ask performance satisfaction of athletic's satisfaction with life and coaching leadership satisfaction. And it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ossibility and intensification of athletic endurance.

한국어

본 연구는 육상 선수의 지도자 유형이 선수생활만족 및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육상 경기 현장의 효과적이고 효율성이 높은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대학 및 실업팀 소속의 육상선수 총 181명의 응답자료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도자 유형의 민주적 유형, 사회적 유형, 긍정적보상 유형 은 과제수행만족, 코치지도성만족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권위적 유형은 과제수행만족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 유형과 운동지속의지는 지도자 유형의 민주 적 유형, 긍정적보상 유형은 운동지속의지의 가능성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권위적 유형은 강화성과 유의한 상관을, 마지막으로 사회적 유형은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육상 선수의 지도자 유형이 선수생활만족의 과제수행만족, 코치지도성만족과 운동지속의지의 가능성과 강화성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수집 절차
4.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지도자 유형과 선수생활만족, 운동지속의지의 상관관계
2. 지도자 유형이 선수생활만족과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1. 지도자 유형과 선수생활만족, 운동지속의지의 상관관계
2. 지도자 유형이 선수생활만족과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경수 Oh, Kyung Su. 안동대학교 석사
  • 정성현 Jung, Sung-Hyun. 한국체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