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여자체조 도마 종목 연기내용 분석을 통한 2020도쿄올림픽 전략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rategy of the 2020 Tokyo Olympics by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Women′s Gymnastics Vault

송주호, 이진석, 박종훈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trategy for women's vault YSJ players to use acting skills in preparation for the 2020 Tokyo Olympics. Based on the video of the 2019 World Championships women's vault final match and the results of the competition provided by FIG, the analysis subjects analyzed the performance of YSJ and major competitors and concluded that: Major competitors, BILES Simone and CAREY Jade, performed 11.8 difficulty points in 1st and 2nd respectively, while YSJ performed 11.6 difficulty points in 1st and 2nd respectively. Plan 1) Improve the completion of YSJ's primary technology, Handspring fwd on str to fwd with 2/1t, and improve the secondary technology Round off, flac on str to bwd with 2/1t (difficulty 5.4 points), thereby maintaining insufficient height. Plan 2) With the 2nd technology of 5.4 points, the team can win the gold medal at the 2020 Tokyo Olympics because it can increase the difficulty score of 0.2 points, which is 5.8 points for BS and CJ player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도쿄올림픽 대비 여자 도마 종목 YSJ 선수의 연기기술 구사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다. 분석대상은 YSJ과 주요 경쟁 선수들로, 2019세계선수권대회 여자 도마 결승 경기 영상과 FIG에서 제공하는 경기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주요 경쟁 선수인 BILES Simone 선수와 CAREY Jade 선수 연기 는 1, 2차시기 합해서 11.8점의 난도점수를 시행하였고, YSJ 선수는 1, 2차시기 합해서 11.6점의 난도점수를 시행하였 다. 이에 1안) YSJ 선수의 1차 기술인 Handspring fwd on str salto fwd with 2/1 t.(난도 6.2점)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 고, 2차 기술인 Round off, flic-flac on str salto bwd with 2/1 t.(난도 5.4점) 기술의 도약력을 키워서 충분한 체공높이 를 유지하여 불충분한 높이에 따른 감점요소를 제거하고 완벽한 착지를 만들어야 한다. 2안) 난도점수 5.4점의 기술에서 반 바퀴 더 비틀어서 BS 선수와 CJ 선수가 구사하는 난도점수 5.8점인 Round off, flic-flac on str salto bwd with 2½ t. 기술을 실시한다면 이들보다 0.2점의 난도점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2020도쿄올림픽대회에서 금메달에 도전할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내용
3. 연구절차 및 자료처리
Ⅲ. 결과
1. 결승경기 결과
2. 난도점수 분석
3. 실행점수 분석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송주호 Song, Joo-Ho. 충북대학교 교수
  • 이진석 Lee, Jin-Seok.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연구위원
  • 박종훈 Park, Jong-Hoon.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김동민(2017). 2016 리우올림픽대회 기계체조 남자 도마 결승경기의 연기내용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6(1), 1151-1160.
  • 2김동민, 남승구(2014). 제44회 세계체조선수권대회 도마경기의 연기내용 동향분석. 스포츠사이언스, 31(2), 53-60.
  • 3김동민, 남승구(2016). 2015 기계체조 세계선수권대회남자 도마결승경기 연기내용분석. 스포츠사이언스, 33(2), 17-25.
  • 4김동민, 남승구(2017). 2016 리우올림픽대회 기계체조남자 마루운동 결승경기의 연기내용 분석. 스포츠 사이언스, 34(2), 75-82.
  • 5김동화, 이수근(2017). 기계체조 세계선수권대회 남자마루운동 연기내용분석-단체예선경기 1~12위팀 중심으로. 체육과학연구, 28(4), 1073-1082.
  • 6남승구, 김동민(2015). 2014년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남자도마 결승경기의 그룹유형별 실시 감점 및 연기 완성도 분석. 한국스포츠학회지, 13(2), 101-110.
  • 7대한체조협회(2017a). 남자체조 채점규칙집.
  • 8대한체조협회(2017b). 여자체조 채점규칙집.
  • 9송주호, 김언호, 박종훈, 김동화(2018). 기계체조 종목별 연기내용 구성 및 전략수립(2018 아시아경기대회 및 세계선수권대회 대비).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10송주호, 김창영, 윤창선, 신형욱, 박종훈(2019). 디지털 영상을 활용한 남자 기계체조 마루운동 경기력향상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6(5), 684-692.
  • 11송주호, 박종철, 박종훈(2019). 기계체조 남자 도마종목기술 내용 분석을 통한 경기력향상 방안 연구. 한국스포츠학회지, 17(3), 761-769.
  • 12한윤수(2013). 런던올림픽 도마 결승경기의 연기요소, 라인감점 및 착지 성공률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2(1), 1069-1076.
  • 1349th Artistic Gymnastics World Championships 2019, Women Vault Final. https://www.gymnasticsresults.com/worlds/2019/wag/af4vt.pdf
  • 14F.I.G. (2017). WAG code of point(2017-2020)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