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국내 체육계 구술채록 운영 현황 및 고찰

원문정보

Current Situation and Review of Sports Oral records in Korea

김미숙, 전상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sports dictators and oral records in Korea. Oral history is valued for being able to study past non-literal societies or fill gaps in historical narratives. Since the 1980s, the necessity of oral recording has been raised, and since the 2000s, the research on oral history has been expanded to the oral recording business (Taeklim Yoon, ). On the other hand, sports oral history began with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gency’s 「Story Korean Sports History」(1997) from the end of the 1990s, and books were created one after the other, focusing on sports and characters such as athletics and soccer. Sports oral history is a case of collecting sports characters actually experienced by reporters who attended international competitions rather than academic research. Then, from the end of the 2000s, academic studies such as Hojun Chun (2007)’s Basic Research for Establishing an Archive of Oral History for the Olympic Games, Kidong Park et al. From that time on, research on oral history focused on individuals, referred to as sportsmen, became active. As reflecting this atmosphere, the Korea Sports Association and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gency are operating “Sports Heroes” and “Oral Records for Sports Development Contributors” under different names. As much as, its utility is high. Therefore, in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sports oral history and oral records,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how it has been researched and operated, and to present the historical values of sports oral artists in Korea and the future direction of oper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국내 체육계에 구술채록 운영 현황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구술사는 과거 무문자 사회를 연구하 거나 역사 서술의 공백을 채울 수 있다는 데에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1980년대부터 구술 기록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2000년대부터 다양한 기관에서 구술사연구는 구술채록 사업으로 확장되었다. 스포츠구술사는 1990년대 말부터 국민 체육진흥공단의 「이야기 한국체육사」(1997)로부터 시작되어 육상, 축구 등 종목과 인물들을 중심으로 단행본이 연이어 출간되었다. 스포츠구술사는 학술연구보다 국제대회에서 참관한 기자들이 실제 겪은 스포츠인물들을 글로 모은 경우이 다. 2000년대 말부터 천호준(2007)의 「올림픽 구술사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박기동외(2008) 「체육사 연구 방법으로서 구술사의 적용과 그 의의」 등 학술연구가 시작되었다. 이때부터 체육인으로 지칭되는 개인 중심의 구술사 연구가 활발해졌다.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대한체육회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은 다른 명칭으로 “스포츠영웅”과 “스포 츠발전공헌자 구술채록” 사업을 운영하면서 스포츠명예의 전당이나 국립체육박물관 홈페이지에 탑재할 만큼 구술채록 의 활용성이 높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국내 구술채록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그 동안 어떻게 연구 및 운영되어왔는 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대한민국 스포츠구술사 및 구술채록의 역사적 가치와 앞으로의 운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구술채록 운영사례
1. 대한체육회
2. 국민체육진흥공단
3. 대한체육회와 국민체육진흥공단 구술채록 비교 분석
Ⅲ.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미숙 Kim, Mi-Suk.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선임연구원
  • 전상완 Jeon, Sang Wan. 가천대학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