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Research on the Status of Online Learning Engagement of Nanning Normal University Sports Majors Undergraduates

원문정보

중국 난닝사범대학교 체육학과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 참여 현황 연구

왕동락, 김종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learning engagement of undergraduate sports majors during the period of the coronavirus and use this to analyze the quality of online learning in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205 undergraduat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Nanning Normal University sports majors by the cluster sampling method. With the data colle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2.0. As a result, first, the online learning engagement of sports majors undergraduates at Nanning Normal University is generally at a low-to-medium level. Secondly, gender differences have an impact on the level of online learning flow. Third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level of online learning investment among undergraduates of different grades, but in the dimension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the investment level of sophomore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reshman students. Fourthly, the differences between student sources show that the average level of overall online learning investment of students from rural areas i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from urban areas.

한국어

이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 기간 대학교 체육학과 학부생의 온라인 학습 참여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활용하여 대학의 온라인 학습의 질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난닝 사범 대학교 체육학과 학부생을 모집단으로 집락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05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에 따라 통계프 로그램인 SPSS 22.0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난닝사범대학 체육학과 학부 온라인 학습 참여는 전체적으로 중하위권이다. 둘째, 성별 차이는 온라인 학습 몰입 수준에 영향을 주는데, 남학생의 온라인 학습 몰입 수준이 여학생보다 높다. 셋째, 학년별 학부생의 온라인 학습 참여는 전체 수준에 현저한 차이가 없다. 넷째, 학생별 거주지에 따르면 농촌에서 온 학생들의 총체적 학습비 지출 평균 수준은 도시에서 온 학생들보다 높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1. Survey object
2. Measurement
3.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urvey tools
4. Data processing
Ⅲ. Results and Analysis
1. Overall description of online learning engagement
2.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Online Learning Input of Different Gender Students
3. Analysis of Differences in Online Learning engagement of Students of Different Grades
4. Analysis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sin Online Learning engagement of Students from Different Places of Origin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References

저자정보

  • 왕동락 Wang Dongle. 꾸이린 관광대학교 강사
  • 김종식 Kim, JongShik. 원광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