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t has been generally believed that parental property had been equally divided among their children in Lȇ society, regardless of gender, if their parents died without a testament. However, Tran Nhung Tuyet has challenged this opinion recently, saying that the daughters had been discriminated. She has given the three reasons. 1) Art. 388 in the Lȇ Code only mentions the division among the brothers and the sisters, not the equal division. 2) According to the Hồng Đức thiện chính thư, the portion of the eldest son must be equal with that of the other sons (chúng tử). 3) She shows the three testaments in which the portion of the daughters was less than that of their brothers. However, one of the three testaments which she quotes states the equal division of their property among chúng tử and leave it to the three nam nữ, i.e. two sons and one daughter. If so, among in art. 388 can be interpreted as equal. Furthermore, the testaments of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which were collected by the Japanese scholars clearly point to the equal distribution of family properties among sons and daughters. It is true that there were some unequal distributions among sons and daughters.
한국어
베트남 레 왕조 시대에 부모가 유언장을 남기지 않았으면, 아들들과 딸 들은 부모재산을 균분했다고 믿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쩐 늉 뚜옛이 서너 가지 이유를 들어 이의를 제기했다. 하나는 『국조형률』 388조에 균분이 아 니라 상분(相分)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홍덕선정서』에 장남이 중자(衆子)와 균분한다는 규정에서‘자’를 아들로 해석하고 있다. 셋째 이 유로는 아들들의 몫이 딸들의 몫보다 많은 18세기 유언장 셋이다. 그러나 그가 인용한 유언장 중 하나의 본문에“소유한 전지(田池)와 토택(土宅)은 미리 촉서를 작성하여 중자에게 균분하되 남녀 3인에게 남겨 준다.”라는 구절이 있다. 이로 보면 ‘자’는 아들과 딸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 서 『홍덕선정서』의 중자균분은 형제자매가 균분한다는 의미이다. 그렇다 면 상분도 균분의 의미로 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일본인 학자가 조사한 18,9세기의 촉서들은 부모가 재산을 아들들과 딸들에게 균분한 것들이 많 다. 물론 딸들이 차별된 경우가 없지는 않았다.
목차
I. 서론
II. 레 왕조시대의 자녀균분상속 문제
III. 쩐 늉 뚜옛 주장의 오류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